몸길이만으로도 시선을 압도하는 동물이 있다. 아프리카 사바나를 대표하는 초식동물, 기린 이야기다.
기린은 전 세계에서 가장 키가 큰 육상동물로, 수컷 기준 평균 키는 약 5.5m에 달한다. 목만 해도 약 2~2.4m까지 자라며, 이는 성인 남성 키를 훌쩍 넘는 수치다. 이러한 체형은 먹이 확보와 포식자 감시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기린은 긴 목을 이용해 아카시아나무와 같은 키 큰 식물의 잎을 주로 먹는다. 혀의 길이도 45cm가량으로 길며, 검푸른색을 띠고 있다. 혀를 이용해 가시가 많은 나뭇가지에서 능숙하게 잎을 떼어 먹는 행동이 자주 관찰된다.
기린의 다리는 앞·뒷다리 모두 길고 곧게 뻗어 있으며, 달릴 경우 시속 50km까지 속도를 낼 수 있다. 외형과 달리 뛰어난 기동성을 갖추고 있는 셈이다.
다만 목이 길어 물을 마시는 자세는 다소 불편하다. 두 앞다리를 옆으로 벌려 몸을 낮춘 뒤 조심스럽게 고개를 숙여야 하기 때문에, 이때가 가장 포식자에게 취약한 순간이다.
기린의 심장 또한 독특하다. 약 11kg에 달하는 크기의 심장은 키 큰 몸을 따라 올라가는 혈액을 뇌까지 원활히 공급하기 위해 강력한 펌프 역할을 한다. 혈압은 초식동물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인간보다 약 2~3배가량 높게 측정된다.
기린의 목뼈는 사람과 동일하게 7개로 구성돼 있다. 개수는 같지만 각 뼈의 길이가 길어 전체적으로 늘어난 구조다. 목의 길이로 인해 격투 장면도 종종 벌어진다. 수컷 기린들은 짝짓기 철에 경쟁 상대에게 목을 휘둘러 가격하는 ‘넥킹(necking)’이라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무늬 또한 개체별로 모두 다르다. 얼룩덜룩한 갈색 무늬는 지문처럼 고유하며, 서식지의 수풀 환경에서 보호색 역할을 한다. 종에 따라 무늬 형태도 다르게 나타난다. 현재까지 기린은 4개의 주요 종과 그에 속한 아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마사이기린, 누비아기린, 남부기린 등이 있다.
한편 기린은 사회적 동물로, 보통 암컷과 새끼가 무리를 이루며 생활한다. 수컷은 비교적 독립적인 생활을 하거나 소규모 집단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임신 기간은 약 15개월이며, 보통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출산 직후 새끼는 약 2m 높이에서 땅으로 떨어지며, 곧바로 일어서기 위한 본능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기린은 아프리카 중부 및 동부 지역의 사바나와 개활지에서 주로 서식한다. 최근에는 서식지 파괴와 밀렵 등의 이유로 일부 종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등재되기도 했다.
기린은 그 크기만큼이나 다양한 생물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현재도 많은 학자들이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기억력·사회성·지능까지…코끼리, 몸집 너머의 진화
물 마시기도 전투도 목으로…기린이 살아가는 방식
'지능은 침팬지급, 언어체계 존재'…과학이 밝혀낸 돌고래의 놀라운 세계
멸종위기 고릴라 무리, 아프리카 자연 보호구역서 처음으로 새끼 출산 확인
‘숲속의 붉은 그림자’…래서판다, 작지만 독립적인 고산 숲의 거주자
야생 20년, 사육지에선 30년…판다의 수명에 차이
가시만 봐도 감정 상태 알 수 있다! ‘고슴도치’ 키우기
귀엽지만 쉽지는 않다! 햄스터 키우기
모피 때문에 죽고 코로나 때문에 죽는 ‘밍크’ 사체도 불 태워진다
애교 많은 반려동물 '기니피그' 입양 전 알아야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