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절성 개 질환은 9~11월 사이에 발생한다(사진=ⓒ게티이미지) |
여러 가지 질병으로 인해 동물들이 건강상 위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수의사들과 동물 관리 전문가들은 반려견 주인에게 계절성 개 질환(Seasonal Canine Illness)을 무시하거나 간과하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 질병에 대해 알아두면 사전에 예방 가능하며, 걱정을 줄일 수 있다.
수의사들은 최근 몇 년간 유행하고 있는 계절성 개 질환의 보고 사례를 추적 조사하고 있다. 이 질병이 처음 보고된 것은 2010년으로 그 후 해마다 9월부터 11월까지 수많은 개들이 이 질병에 걸리게 됐다. 주로 숲 지역을 다녀왔거나 숲에서 자주 산책하는 개들이 이 질병에 걸렸다고 보고됐다.
대다수 의료 보고서와 관찰 내용에 따르면, 해마다 이 계절에는 수확기 진드기(harvest mite)가 기승을 부린다. 이 수확기 진드기는 숲을 다녀온 개의 가슴과 발, 다리, 복부에 들러붙게 된다. 즉, 반려견의 털에 붉은색 먼지처럼 보이는 반점이 생기는 것이다.
수의사와 반려견을 기르는 사람들은 이 질병으로 인한 영향을 우려하고 있지만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보고된 사례를 보면, 이 질병에 감염된 개는 많지 않다. 따라서 주인들은 이 계절이 되면 계절성 개 질환을 좀더 신경 쓰기만 하면 된다. 질병 때문에 기존의 생활습관을 전부 바꿀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기억해야 할 점은 수확기 진드기가 주로 낮 시간에 활동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반려견과 이 시간에 일과를 보내는 사람이라면 이른 아침이나 저녁 무렵으로 산책 시간만 바꾸는 것이 좋다.
또 다른 예방 조치는 수확기 진드기가 번식하는 숲이 우거진 곳이나 키가 높은 풀이 있는 장소를 피하는 것이 좋다. 계절성 개 질환에 걸리는 개들은 주로 이런 장소에서 감염된다.
계절성 개 질환은 때로 알아채지 못할 수도 있지만 매해 가을에 유발된다. 증상은 보통 숲 지역을 다녀온 후 1~3일 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질병에 걸린 개는 짧은 시간 안에 상태가 악화되어 죽을 수도 있다. 사실상 증상은 몇 시간 만에 악화될 수도 있다.
계절성 개 질환의 일반적인 증상에는 구토, 무기력증, 설사 등이 있다. 다른 증상으로는 고열, 근육 경련, 복통 등이 있다. 따라서 이 증상들을 보이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고 놓쳐서는 안 된다. 증상이 다른 위장 질환이나 소화기 질병과 유사해 보일 수도 있기 때문에 수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수확기 진드기는 소형의 오렌지색 곤충으로 키 큰 숲이나 관목 등에서 서식한다. 가을이나 늦은 여름에 기승을 부리며 개나 고양이에 기생하게 된다. 이 곤충은 건강한 숙주를 발견하면 2~3일간 달라붙어 피를 빤다. 이 진드기에 감염된 동물 숙주는 스트레스를 받고 불편함을 느낀다.
| ▲수확기 진드기는 오렌지색의 작은 곤충으로 키 큰 풀이나 관목 등에서 서식한다(사진=ⓒ셔터스톡) |
수의사들은 두 가지 주요 요인 때문에 계절성 개 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하기가 쉽지 않다. 먼저 이 질병의 증상은 여러 다른 질병과 매우 유사하다. 둘째, 아직까지 이 질병에 관한 충분한 정보가 확인되지 않았다.
진단을 확신한 수의사의 경우, 여러 가지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초음파나 엑스레이, 배설물 및 혈액 검사가 포함된다. 그리고 수확기 진드기를 발견하게 되면 이를 제거할 수 있는 치료제를 처방할 수 있다.
추가 관찰이 필요한 경우, 감염된 개를 격리할 수도 있으며, 정맥내 체액 주사나, 항미생물 치료제, 해열제 등을 처방할 것이다.
계절성 개 질환의 최초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그다지 심각해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주의 깊게 살피고 필요한 처치를 해야 한다. 수확기 진드기가 반려견의 몸에 기생해 괴롭히기 때문에 행동 변화가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즉시 수의사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 ▲수의사는 몇 가지 테스트를 진행한 후 올바른 치료법을 처방할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 |
[팸타임스=김영석 기자]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