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주현웅 2025-09-02 16:05:43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야생동물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너구리가 광견병과 기생충,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다양한 질병의 매개체로 주목받고 있다. 

방역 당국은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야생 너구리가 가축 전염병 확산의 통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서식지 관리와 예방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너구리는 전국 산림과 농경지 주변에서 흔히 발견되는 대표적인 야생동물이다. 

최근 도시 근교에서도 출몰 사례가 늘어나면서 사람과 접촉 가능성이 커졌다. 전문가들은 이 과정에서 인수공통전염병 전파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가장 큰 우려는 광견병이다. 광견병은 개, 고양이뿐만 아니라 너구리도 주요 전파 동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2014년 이후 반려견에서의 광견병 발생은 보고되지 않았으나, 야생 너구리에서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매년 백신 미끼 살포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산악 지형 특성상 완벽한 차단에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기생충 감염 문제도 있다. 너구리는 회충, 촌충, 선충 등 다양한 기생충을 보유하고 있어, 가축이나 반려동물과 접촉 시 전염 가능성이 있다. 특히 환경에 배설된 분변을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많아 농경지와 인근 하천 오염 우려도 제기된다.

또한 최근에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과 관련해 너구리가 잠재적 매개체로 지목되고 있다. ASF는 돼지에서 치명적인 질병으로, 멧돼지가 주요 전파자로 알려져 있지만, 야생 너구리가 오염된 폐사체나 환경을 접촉할 경우 바이러스가 농장으로 옮겨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실제로 방역 당국은 너구리 서식 밀집 지역에서 ASF 확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질병 전문가들은 너구리 관리가 인수공통전염병 예방과 직결된다고 강조한다. 

동물병원을 운영하는 관계자는 “너구리는 사람과 가축 모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질병을 매개할 수 있다”며 “지속적인 개체 수 모니터링과 백신 살포, 시민 대상 주의 홍보가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너구리의 도시 출몰 사례가 잦아지면서 주민 안전 문제도 부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야생 너구리와의 직접 접촉을 피하고, 발견 시 지자체나 환경 당국에 즉시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600만에 달하고, 양돈 산업 또한 농가 생계와 직결된 만큼, 너구리 관련 질병 관리 강화는 공중보건과 축산업 보호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