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내 반려견 가운데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개들이 보호자와 함께 침대를 공유하고 있다(출처=셔터스톡) |
대부분의 반려견 보호자는 자신의 반려견과 가능한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길 원한다. 일부 보호자는 한 침대에서 같이 잠을 자기도 하는데, 사실 개와 같이 수면을 취하는 행동 자체에는 일부 논쟁이 일기도 한다. 어떤 사람들은 개와 분리된 공간에서 자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기 때문. 이에 실제로 개와 한 침대를 공유하는 것은 여전히 논란거리다.
미국 반려동물용품협회가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미국 내 반려견 가운데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개들이 보호자와 함께 침대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여기에는 반려견의 크기와 기타 요소도 고려됐다. 바로 혼자살거나 싱글인 보호자가 소형 견종과 함께 한 침대에서 자는 비율이 더욱 높았다는 점이다. 중형견의 경우 41%, 대형견은 32%가 보호자와 한 침대에서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행동의 원인에는 대부분의 낮 시간을 직장이나 학교 등으로 인해 반려견과 같이 지내지 못한다는 데 있었다. 이에 반려견과 함께 지내지 못한 시간을 보충하고 유대감까지 구축할 수 있어 같이 한 공간에서 자기를 원하는 마음이 큰 것이다. 이외에도 일부 분리 불안을 겨끈 개들의 경우에도 공간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려견과 함께 자는 것을 반대하는 일부 전문가들은 건강과 위생에 그 원인을 꼽는다. 개는 인간처럼 스스로 자신의 몸을 청결하게 유지하거나 목욕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만일 개를 매일매일 꼼꼼히 샤워시키고 청결하게 만든다면 어느 정도 이러한 부분은 상쇄될 수 있다. 그러나 최소 며칠동안 씻지 않고 그루밍 등 손질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라면, 침대를 공유하기 위해 침대 시트와 배게 등 잠자리 물품은 매일매일 바꿔줘야 할수도 있다. 자신의 몸 청결뿐 아니라 자신이 묶고 있는 장소에 대한 청결도 중요하다는 의미다.
그러나 이보다 더 심각한 것은 개 털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이다. 이 경우 침대에서 개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한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대에서 어떻게 행동해야할지에 대한 충분한 훈련이 덜 된 반려견 역시 평화로운 잠자리를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수면 질은 떨어지고 대신 스트레스만 유발될 수 있는 것. 이에 침대를 같이 공유하면서 상대적으로 적어진 보호자의 공간이 신경쓰이지 않는다면, 개를 발 밑에 두고 재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특히 건강 상태가 좋은 반려견과 보호자가 함께 산다면, 서로 질병을 전염시킬 가능성이 없어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으로 반려견의 신체 검진을 수행하고, 예방 접종, 진드기 및 벼룩이 없도록 세심한 관리를 해야한다. 만일 암 환자나 장기를 이식받은 환자처럼 건강이 좋지 못할 경우에는 반려견과의 동침은 피해야한다.
| ▲강아지의 체온은 사람의 평균 체온보다 더 높아, 반려견의 체온이 보호자에게 전달되면서 더 따뜻함을 느낄 수 있다(출처=셔터스톡) |
사실 반려견과 한 침대에서 같이 잠을 잘때 얻을 수 있는 혜택도 많다. 먼저 따뜻함과 안전, 편안함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 옆에 누군가 있다는 것을 알면 사실 잠을 자는데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한 마리 이상을 키운다면 모든 강아지들과 함께 잘 경우 오히려 방해나 지장을 받을 수 있어 좋지 못하다.
과학적인 측면에서 볼때도 강아지의 체온은 사람의 평균 체온보다 더 높다. 이에 자연스럽게 반려견의 체온이 보호자에게 전달되면서 더 따뜻함을 느낄 수 있다. 게다가 방 기온이 서늘하고 차가운 밤이라면, 여분의 열이나 온도가 필요할때 더욱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서로 같은 침대를 공유하면 유대감도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는 사람에 비해 깊게 잠들지 않는다. 잠에 든 상태에서도 주변을 경계하는 것으로, 한밤중에 의심스러운 일이 발생할때는 반려견이 경비의 역할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들의 존재 자체만으로 보호자는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것. 게다가 품종이 보호자에게 충직하고 가족을 지키며 영토를 확보하는 성향이 강하다면, 더욱 감시나 경비용으로 손색이 없다. 낯선이들의 존재가 보이기라도 하면 금방 으르렁 거리며 짖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바로 옆에 자신을 사랑하고 신뢰하는 존재가 있다는 것. 이 자체로 위안이 될 수 있다. 낮에 직장이나 학교에서 받았던 스트레스가 집에서는 해소되면서 편안함이 느껴지는 것으로, 이 순간에는 불안감도 사라지게 된다. 개의 사랑스러운 잠자는 모습도 보호자에게는 좋은 느낌을 안겨준다.
[팸타임스=김준호 기자]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