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처럼 반려동물의 건강과 몸매는 운동량과 전체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사진=123RF) |
반려동물의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지 않으면 당뇨병 등 건강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고 전문가들이 당부에 나섰다. 신체충실지수(BCS)를 통해 주기적으로 체크해야한다는 설명이다.
과체중이나 저체중인 반려동물은 피부 감염 및 고혈압, 심장질환, 면역억제, 당뇨병, 기형, 관절 질환 등을 포함해 여러 가지 질병 위험이 높으며 그 결과 수술 가능성이 높아지고 심지어 암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BCS는 신체의 특정 부위에 있는 지방을 토대로 반려동물의 점수를 매기는 것이다. 사람의 체질량지수와 유사한 BCS는 1~9점까지 있다. 점수가 낮을수록 반려동물이 심각할 정도로 저체중이어서 사망 및 기아 위험이 높으며, 점수가 높다는 것은 심각하게 과체중이어서 여러 가지 질병의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9점에서 4~5점이 이상적인 점수로써 5점에서 1점이 넘을 때마다 과체중 가능성이 20% 높아지는 것이다. 1~4점까지는 지나치게 여위어서 갈비뼈와 척추 등이 눈으로 보이는 상태이며 근육량과 지방도 현저히 부족한 상태다.
5점은 가장 이상적으로 균형이 잘 잡혀 있고 갈비뼈와 척추, 골반뼈를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허리선 및 복부로 쉽게 파악이 가능하다. 6~9점은 지나치게 뚱뚱해 갈비뼈와 척추, 골반뼈를 손이나 눈으로 파악할 수 없으며 지방 침전물이 많고 허리가 없으며 복부가 동그랗다.
이 방법은 시각적이며 다소 주관적일 수 있지만, 갈비뼈부터 허리, 엉덩이까지 신체 특정 부위를 살펴서 반려동물의 체중 수준을 표준화할 수 있다. 하지만 마른 체형을 가진 개를 포함해 예외는 존재한다.
![]()
반려견과 반려묘의 당뇨병은 가장 일반적인 질병이다. 사람처럼 동물도 특정 요인으로 인해 당뇨병에 걸리게 된다.
미국반려동물제품협회(APPA)에 따르면 2017~2018년 사이 미국에서만 총 5,020만마리의 개와 5,650만마리의 고양이가 사육됐다. 그리고 2017년 반려견 중 56%, 반려묘 중 60%가 당뇨병에 걸렸다. 이는 BCS 수치가 6 ~ 9점대라는 의미다.
2018년 반려묘의 59.6%가 과체중 내지 비만으로 간주됐다. 이는 과체중인 BCS 6~7점이 25.7%, 8~9점이 33.8%로 구성돼 있는 반면 정상 BCS 4~5점은 단지 38.5%, 2~3점은 1.6%, 1점은 0.5% 분포를 보였다.
같은해 반려견의 55.8%는 과체중 또는 비만이었다. 과체중을 나타나는 BCS 6~7점은 36.9%, 비만을 의미하는 8~9점은 18.9%를 구성했으며 정상 수치인 4점은 43.1%, 2~3점은 0.9%, 1점은 0.2% 가량이었다.
2017년 조사에 따르면 과체중 반려묘를 기르는 보호자 90%와 과체중 반려견을 기르는 보호자 95%는 자신의 반려동물을 정상 체중인 줄 오인하고 있었다. 즉, 대부분의 사람들은 반려동물 관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또 반려동물 주인 가운데 절반 이상인 58%와 수의 전문가 중 54%만이 반려동물 체중 감량을 돕고 있었다. 반려동물 보호자의 40%는 유기농 사료가 일반 상업 제품보다 유익한지조차도 모르고 있었다.
하지만 반려동물 소유주 63%와 수의 전문가 76%는 10년 전보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상업용 사료의 질이 상당히 개선됐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
반려동물을 관리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며 가능하다. 지금 당장 건강한 식단으로 관리하고 운동 습관을 들이면 된다.
수의사와 상담을 통해 실행 가능한 루틴을 만들어야 한다. 반려동물 보호자는 반려동물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많은 정보를 익히고 선행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반려동물의 체중 감량 및 증가는 반려동물의 체형, 조건, 운동량, 나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부지런히 일정을 맞추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다 보면 원하는 결과에 이르게 될 것이다.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