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메리칸 에스키모 도그(출처=위키피디아) |
노즈워크란 개가 이곳저곳의 냄새를 맡으며 정보를 수집하는 행위를 말한다. 우리가 눈으로 세상을 보는 것처럼 개는 코로 세상을 본다. 따라서 반려견을 키우고 있다면 개가 노즈워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개의 코에는 약 3억 개의 후각 수용체가 있다. 이것은 인간의 코에 있는 후각 수용체보다 1만 배나 더 많은 수다. 즉 게에게 있어 냄새를 맡으려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본능이자 욕망이다. 개에게는 공을 던지고 놀며 뛰는 것도 중요하지만, 냄새를 맡는 것도 중요한 일과다.
| ▲개의 코(출처=위키미디어 커먼스) |
강아지에게 기본적인 노즈워크를 하도록 환경을 조성해주면 강아지는 타고난 재능을 연마하며 동시에 정신적, 신체적으로 재밌고 자극적인 놀이를 할 수 있다. 반려견 소유자라면 개가 지루해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럴 때는 함께 운동을 하거나 개가 노즈워크를 하도록 해서 반려견의 몸과 뇌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 ▲간식을 기다리는 개(출처=바크스데일 공군 기지) |
노즈워크 훈련의 첫 번째 단계는 반려견이 사냥 욕망을 느끼도록 만드는 것이다. 긍정강화 훈련을 통해 반려견의 사냥 본능을 일깨운다. 예를 들어 종이컵이나 이불 속에 간식을 숨겨두고 찾도록 하는 것이다.
| ▲풀숲 냄새를 맡고 있는 개(출처=위키미디어 커먼스) |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찾기 복잡한 곳에 간식을 숨긴다. 나중에는 간식이 아니라 특정 냄새가 나는 물건, 예를 들어 주인의 옷이나 강아지의 장난감 등을 찾도록 만들며 훈련 단계를 높인다.
이런 훈련은 일상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지만, 개에게 전문 훈련을 받도록 하고 싶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킁킁매트라고도 부르는 코담요는 천이나 인조잔디로 만들어진 매트에 각종 주머니, 끈, 옷감 등을 부착해 개의 간식을 숨길 수 있는 도구다. 그러면 개가 후각만으로 간식을 찾아 먹는다.
| ▲장난감 냄새를 맡는 개(출처=플리커) |
코담요와 유사한 킁킁볼은 봉제 인형과 비슷한 재질의 공에 다양한 주머니를 달아 간식을 숨겨두는 장난감이다. 그러면 개가 냄새를 맡아 간식을 꺼내 먹는다.
| ▲폭탄 탐지 훈련 중인 군견(출처=피터슨 공군 기지) |
간단하게 노즈워크 게임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작은 간식을 손 안에 숨긴 뒤 개가 주인의 오른손 혹은 왼손의 냄새를 맡아 간식을 찾도록 하는 것이다. 혹은 집안 구석구석에 간식을 숨겨두고 반려견이 찾도록 해도 좋다.
| ▲나무 냄새를 맡고 있는 개(출처=픽사베이) |
[팸타임스=이경한 기자]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