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픽사베이 |
반려견이나 반려묘가 평소와 다르게 행동하는가? 또는 작은 소리에도 동요하고 신경질을 부리며 긴장하는가? 심한 경우 설사를 하거나 음식을 거부하기도 한다. 이 모든 변화의 원인은 바로 '스트레스'다.
미국 동물학대예방협회(ASPCA)에 따르면 애완동물의 스트레스는 '고래 눈(Whale eye)'으로 알려진 매서운 눈, 뒤집힌 입술, 낮춘 꼬리 및 헉헉거림 등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원그린플래닛(One Green Planet)에 따르면 동물의 스트레스는 새로운 환경과 같은 불편한 상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다음 요인을 제거하여 불필요한 스트레스로부터 반려동물을 보호할 수 있다.
1. 공간 침해
주인은 반려동물과 키스나 포옹하기를 좋아할 수 있지만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포옹은 개들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를 포옹하는 사람들의 온라인 사진 250개를 검토한 결과 연구진은 사진 속 애완견들 중 81%가 스트레스 징후를 보였다는 결론을 내렸다. 공간 침해는 포옹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일부 반려동물은 너무 가깝게 다가가 앉는 것만으로도 자극을 받아 난폭하게 반응할 수 있다. 만약 지나친 애정 표현 때문에 반려동물이 스트레스 징후를 나타낸다면 잠시 동안만이라도 자유롭게 놔두는 편이 옳다.
2. 낯선 환경
모든 반려동물이 사교적인 성격은 아니며 특히 새롭고 낯선 환경은 고양이에게 큰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친숙한 향을 뿌리고 반려동물이 스스로 새로운 장소를 발견하게 하여 낯선 환경에 서서히 적응하도록 돕는다. 만약 새로 입양한 고양이를 가족이나 다른 동물에게 소개하고자 한다면 먼저 상대방의 향기에 익숙하게 함으로써 불안을 줄일 수 있다.
3. 심한 소음
천둥이나 폭죽 소리에 반려동물이 소스라치게 놀란다는 사실을 아마 알고 있을 것이다. 소음은 반려동물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주된 원인이다. 기르는 강아지나 고양이를 소음에 적응하도록 강요하는 대신 몸을 숨기고 진정시킬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둥 번개가 치면 창문을 닫고 음악이나 텔레비전과 같은 익숙하고 즐거운 소음으로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도 좋다.
[팸타임스=Jennylyn Gianan 기자]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