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셔터스톡 |
반려인구가 급증하면서 반려동물과 반려인의 생활을 더욱 편하게 만들어주는 기술도 향상되고 있다. 보호자가 항상 옆에 있지 않아도 반려동물의 행동과 습관을 모니터링하고 보호자가 해줄 수 없는 일들을 처리해주는 다양한 기술들. 올해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선보이며 주목을 받은 반려동물 관련 제품들을 만나보자.
펫미오 시스템(Petmio System)
이 제품의 풀네이밍은 펫미오 스마트 뉴트리션 시스템(Petmio Smart Nutrition System)으로, 즉 영양 맞춤식 시스템이다. 인공지능(AI)이 탑재되있어 반려동물의 식단을 필요에 맞게 맞춤화되도록 설계돼있다. 시스템 구성은 스마트 트랙커와 스마트 보울, 맞춤식 사료 등으로 제품 구상을 위해 수의사와 식품 과학자, 반려인, 기술자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시스템은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 반려동물의 활동이나 수면, 생활습관 수준은 스마트 트랙커를 통해, 반려동물의 식습관은 스마트 보울을 통해 모니터링 해 '유기농, 천연성분, 현지 재료'를 활용한 레시피를 제공한다. 또한 요리법은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반려동물의 필요에 따라 매달 바뀔 수 있다.
보호자는 펫미오 앱을 통해 스마트 트랙커와 스마트 보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뿐 아니라 앱에서 제공하는 반려동물의 건강과 영양 목표, 잠재 건강 이슈등에 대한 분석도 얻을 수 있다.
| ▲ 출처=픽사베이 |
캣츠패드(Catspad)
캣츠패드 역시 펫미오와 비슷한 건강 및 영양 공급 시스템으로 작은 강아지들이나 고양이, 혹은 그 외 다양한 종류의 반려동물들에게 활용할 수 있다. 기기의 자동 공급기는 마이크로칩이나 목줄의 태그로 각각 동물들을 구별해 특정 양의 사료를 분배하고 물을 제공한다.
이 기기의 가장 최고의 기능이라면 보호자가 장기간 밖에 있어도 앱을 통해 원격으로 고양이에게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앱은 또한 보호자가 반려동물의 일일 섭취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 반려동물의 식습관이 바뀌었을 경우에도 이를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리터-로봇III(Litter-Robot III)
이 제품은 와이파이가 탑재된 고급 고양이 화장실로 보호자 대신 반려동물의 배설물 뒷처리를 담당해준다. 배설물을 처리해주는 것 외에도 고양이가 화장실을 사용할때, 그리고 배설물이 가득찼을때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기능도 탑재됐다. 현재는 미국을 비롯해 캐나다, 호주, 그리고 한국을 포함한 일본, 싱가포르 등 일부 지역에서 구매가 가능하다. 스마트펫 베드(Smart Ped Bed)
반려동물 침대이긴 하지만 단순한 침대가 아니다. 이 스마트 베드는 반려동물의 체중과 활동 수준을 추적하면서 동시에 품종과 나이에 기반한 최적의 체중 범위까지 제공해준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휴대폰을 통해 활동 추적기로 반려동물의 체중을 건강한 쪽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는 과체중과 비만으로 고통받는 반려동물이 늘어나는 가운데, 반려동물의 체중과 활동습관을 모니터링 해주며 반려인들의 수고를 덜어주는 역할을 해준다.
펫큐브(Petcube), 펫플레이(Pet Play)
펫큐브는 보호자가 직장에 있을때나 혹은 집에서 나가있을때도 집안의 반려동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바로 스마트 카메라 시스템으로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것.
펫 플레이는 카메라에 포착되는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감지될때마다 비디오로 녹화, 이를 보호자가 휴대폰의 앱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또한 보호자는 앱에서 '화상통화 요청 승인'을 클릭해 양방향 오디오 기능으로 자신의 반려동물과 이야기도 할 수 있다. 1080p HD 스트리밍에 3X 디지털 줌, 비디오 레코딩 클라우드 서비스 등으로 구성되있다.
| ▲ 출처=픽사베이 |
휘슬3(Whistle 3)
눈앞에 반려동물이 안보일때마다 걱정되는 보호자들이라면 휘슬3로 언제라도 위치추적을 할 수 있도록 하자. GPS 추적 장치가 탑재된 이 시스템은 보호자의 휴대폰을 통해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보호자는 또 집 주변의 특정 장소들을 안전지대로 지정할 수 있는데, 만일 반려동물이 안전지대를 벗어났다면 앱은 즉각 보호자에게 이 사실을 알려주고 반려동물의 위치도 공개한다.
이 제품은 현재 미국에서만 판매가 가능하지만 추후 다른 지역에서도 출시가 가능할 전망이다.
[팸타임스=Jennylyn Gianan 기자]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