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픽사베이 |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라면 강아지가 짖는 소리나 고양이의 울음소리가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싶을 것이다. 아마도 세상의 모든 동물 애호가들이 원하는 바가 아닐까. 놀랍게도 이 같은 소망이 곧 현실로 이뤄질 수 있다는 최근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그 시기를 향후 10년 이내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인공지능을 이용해 명주원숭이(Marmoset monkey)의 '경고음'을 해석하는 연구와 양의 '통증 언어'를 해석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NBC 뉴스 닷컴의 한 기사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다양한 혁신적 방법을 사용해 동물의 발성과 표정을 해석하려는 노력을 쉬지 않고 있다.
미국 노던 애리조나 대학의 명예 교수이자 도서 '도리틀 박사와 함께 동물의 언어 배우기'의 저자인 콘 슬로보드치코프는 지난 30년간 프레리도그(prairie dog)를 연구해왔다.
슬로보드치코프 박사는 "프레리도그는 포식자 유형과 크기에 따라 동료 그룹에게 다양한 경고음을 보낸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프레리도그의 언어를 이해할 수 있다면, 개와 고양이도 당연히 가능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슬로보드치코프 박사는 강아지가 짖는 소리와 움직임이 묘사된 비디오를 다량 수집해왔다. 이를 통해 개과 동물의 언어를 이해하고, 알고리즘을 사용해 인간의 언어(영어)로 바꾸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 과학적 진보는 반려동물 소유자와 동물 애호가가 동물과 '더 가까운 정서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동물의 정확한 요구를 이해하고 나아가 동물의 생명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동물의 언어를 번역한다고 해서 반려동물과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아직 시작에 불과하지만 이 기술은 분명히 동물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팸타임스=이경한 기자]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