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플리커 |
반려동물 천만 시대라 할 정도로 많은 가정에서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 반려견은 약 670만 마리에 육박하며 반려묘는 약 210만 마리를 키우는 것으로 집계된다. 두 마리 이상의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도 많다.
반려동물 전성시대인 요즘, 보편적인 강아지와 고양이가 아닌 이색 반려동물을 키우고자 하는 당신에게 이색 반려동물 관련 정보를 소개한다.
이색 반려동물 키우기 전 준비 사항
생각보다 반려동물로 키울 수 있는 동물은 다양하다. 남들과 다른 개성 있는 반려동물을 기를 수 있지만 준비해야 할 것들이 있다.
일단 이색 반려동물을 키우기 전 키우고자 하는 동물이 합법적으로 가능한지 아닌지를 확인해야 한다. 특이한 반려동물로 인해 이웃과 반려동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반려견이나 반려묘 같은 보편적인 반려동물이 아닌 만큼 먹이를 주거나 병원을 방문할 때 반려인은 더 큰 노력과 비용이 들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그렇다면 이색 반려동물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 왈라루 : 캥거루과 중에서 가장 작은 종인 왈라루는 호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물로, 이미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합법적으로 기를 수 있다. 캥거루의 특성상 농장이나 목장 같은 큰 규모의 장소에서 키우기 적절해 도시보다는 농촌이 생활하기에 좋다.
* 카비파라 : 이 쥐는 설치목 가운데 가장 큰 크기를 자랑하는 동물로, 체중도 최대 63kg까지 나간다. 설치목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쥐들과 달리 유해동물로 간주하지 않는다. 게다가 친화적이고 사교적인 성향으로 그룹을 지어 생활해 반려동물로도 손색이 없다. 미국의 텍사스와 펜실베이니아의 경우 카피바라를 합법적으로 기를 수 있도록 규정했다.
* 서발 : 일반 집고양이보다 몸집이 좀 더 큰 이 고양이는 어떨까? 키는 약 60cm에 체중은 18kg가량 나가는 서발 고양이는 흔히 볼 수 있는 반려묘와는 차별화된 고양이다. 일반적으로 성향이 공격적이지는 않지만, 일반 고양이들과는 다른 야생 본능을 갖고 있어 모험을 즐기는 보호자에게 제격이다.
* 스컹크 : 잘 알려진 것처럼 위협받았다고 느낄 때 악취를 풍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반려동물로 집안에서 기르는 스컹크들은 이미 새끼 때 이런 냄새가 제거돼 반려동물로 함께 지낼 수 있다.
* 페넥여우 : 여우들 중 가장 작고 몸에 비해 큰 귀를 가지고 있는데, 이미 인기가 많은 반려동물 가운데 하나다. 강아지처럼 활달한 에너지를 분출하면서 동시에 고양이처럼 독립적인 태도를 보이는 미워할 수 없는 동물이다.
콘스네이크 : 뱀은 그 어떤 반려동물보다 소음, 냄새가 없는 동물이다. 게다가 콘스네이크는 작은 크기로 반려뱀 중 가장 온순하다. 콘스네이크는 집 안 내부 습도를 잘 관리해야 하며 뱀이 들어갈 물통을 만들어 줘야 한다.
가정에서 함께 지낼 수 있는 특이한 반려동물은 생각보다 다양하다. 강아지, 고양이가 대부분인 반려동물 속에서 좀 더 모험적인 선택을 해 보는 건 어떨까?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