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 = 플리커 |
고양이 승저증이란 흔히 구더기증이라고 불리는 질병으로, 야외 생활을 하는 반려동물이 걸리기 쉬운 병이다.
쉽게 말하면 파리가 동물의 몸에 알을 까고, 알에서 나온 유충이 동물의 피부 아래로 파고든 뒤 성장하는 질병이다. 구더기는 고양이의 입, 콧구멍, 상처, 눈 등을 통해 몸 안에 들어가기도 한다.
고양이가 야외에서 생활하거나, 혼자 야외에서 산책을 하고 돌아오는 방목냥이 혹은 산책냥이라면 승저증에 걸리기 쉽다.
고양이의 몸 안에 들어간 구더기가 기관 벽을 통해 흉강 내로 들어가거나 횡경막을 통해 복강으로 이동하면 주변 조직을 먹어서 영양분을 얻는다. 구더기는 고양이의 체내에서 구멍을 파고 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자리를 만든 뒤 30일 동안 호흡하며 지내다가 파리로 자란다.
만약 고양이의 피부 일부가 부풀어 오르고 그 가운데에 구멍이 있다면 승저증을 의심해야 한다. 구멍 안쪽에서 구더기의 움직임이 보일 수도 있다. 고양이가 상처 부위를 계속 핥거나 통증, 염증의 징후를 보이기도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고양이에게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직접 구더기를 제거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또 구더기는 쉽게 파열되기 때문에 고양이의 몸에 알레르기 반응이나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수의사는 감염된 부위의 털을 자르고 국소 마취약을 투여한 뒤 포셉 등으로 구더기를 제거한다. 구더기를 모두 제거하면 상처 부위에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소독 및 후처치를 한다.
고양이가 야외 활동을 하거나 벌레가 많은 지역에 살고 있다면 특히 주의해야 한다.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