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출처 : 픽사베이 |
밥먹는 시간은 반려견에게 가장 행복한 시간이다. 그런데 우리는 대부분 반려견의 밥그릇과 물그릇을 바닥에 놓는다. 반려견은 고개를 숙이고 음식과 물을 먹고 마신다.
전문가들은 바닥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반려견의 밥그릇과 물그릇을 놓는 편이 좋다고 조언한다. 즉, 반려견에게도 식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반려견이 고개를 푹 숙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음식과 물을 쉽게 삼킬 수 있다. 식사도 원활해질 뿐더러 질식이나 급체 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식탁을 놓기 힘들다면 반려견이 사용할 식기 자체를 크고 높은 것으로 바꾸면 된다.
특히 반려견의 관절이나 척추에 문제가 있거나, 수술 후 회복 중이라면 그릇 위치를 높게 조정해서 반려견이 몸을 구부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술 후 개가 몸을 구부리면 수술 부위의 실밥이 터질 우려가 있다.
어린 강아지가 고개를 푹 숙이고 먹이를 먹으면 고창증을 겪기 쉽다. 고창증이란 배에 가스가 차는 증상인데, 음식을 먹을 때 과도한 양의 공기가 함께 들어가서 장기 부풀리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면 다른 내부 장기가 압박을 받아 혈액 흐름이 차단될 가능성이 있다.
물론 반려견의 품종에 따라 다리가 짧은 개들도 있기 때문에 그릇 위치를 조정할 때는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고 수의사의 조언을 따르는 편이 좋다.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