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출처 : 123RF |
털 없는 개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비듬이나 다른 입자들이 없어서 개를 좋아하지만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이 키우기에 안성맞춤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털이 없는 개는 피부 질환에 걸리기 쉬워 사육비가 더 많이 든다는 우려로 꺼려지고 있다.
카렌 베이커 박사에 따르면, 털 없는 개는 돌연변이의 결과이다. 이 개들은 털을 가지고 태어났지만 생후 수 개월 내에 털이 모두 빠져버린 것이다. 이 털 없는 개들은 개털 알레르기 환자가 키우기에 적합할 뿐 아니라 지적이고, 사랑스럽고, 활동적이고, 냄새가 덜 나고 사육이 쉬워 누구에게나 반려견으로 안성맞춤이다.
털 없는 개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품종이며 몸에서 발산되는 열기로 인해 통증이나 관절염의 치유력을 가졌다고 여겨졌다.
| ▲ 사진 출처 : 위키피디아 |
대표적인 품종은 아래와 같다.
1. 아메리칸 헤어리스 테리어 - 미국 루이지애나주에서 유래 됐으며, 랫 테리어의 교배종이다. 태어난 직후에는 털이 있지만 몇 주 사이에 털이 다 빠져 완전히 헤어리스가 된다. 호기심이 많고 애정이 풍부하고 사교성과 협조성이 있어 다른 반려견이나 반려묘와도 잘 어울린다. 키는 7~18인치 정도이며, 몸무게는 5~16파운드 정도 나간다.
2. 차이니즈 크레스티드 - 원산지는 중국이다. 털 없는 개 중 가장 잘 알려져 있고, 머리, 다리, 꼬리 일부에 털이 조금 있다. 가는 뼈대에 고상하고 우아한 외모와 쾌활하고 기민하고 장난기가 많은 사랑스러운 견종이다. 키는 10~13인치 정도이며, 몸무게는 약 10파운드 정도 된다.
| ▲ 사진 출처 : 플릭 |
3. 페루비안 잉카오키드 - 페루에서 유래 됐으며, 잉카족이 키우던 견종이다. 차이니즈 크레스티드와 함께 하운드 종으로 분류되며, 머리 위만 약간의 흰 털이 있다. 작고 가볍고 활동적이며 페루비안 헤어리스와 비슷하나 차이가 있다. 키는 17~26인치 정도이며, 몸무게는 50파운드 정도다.
4. 졸로이츠퀸틀리 - 멕시코에서 유래 됐으며, 멕시칸 헤어리스 독 또는 졸로로 알려져 있다. 3,000년 전 아즈텍 문명 때부터 길러진 것으로 여겨진다. 근엄하고 조용한 훌륭한 경비견이다. 키는 30인치 정도이며, 몸무게는 40파운드 정도다.
털 없는 개는 정기적인 털 관리는 필요 없지만 피부는 특별한 주의를 요해서 안전하고 무독성인 샴푸를 사용해야 한다. 피부에 정기적인 수분 공급을 위해 코코넛 오일과 햇빛 차단제 사용을 권장한다. 여름철에는 햇빛 보다는 그늘이 좋으며, 외출을 할 때는 뙤약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옷을 입히고, 겨울철 야외 활동 시에는 코트나 스웨터 등의 방한용 옷을 입히는 것이 좋다.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