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팸타임스 Jennylyn Gianan 기자 ] 인간에 대한 개의 친근감은 유전적 결과라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과거 늑대로부터 진화된 개는, 사교성을 증가시키는 특정 유전자가 이어져 왔다고 한다.
프린스턴 대학의 브리짓 폰 홀트 박사는 개와 늑대의 유전적 변이는 고양이 등, 인간에게 친화적인 다른 종 또한 유사한 유전자가 있음을 암시한다고 밝혔다.
이 유전자는 개와 가장 큰 특징인 인간과의 친화성을 설명해준다. 늑대는 문제 해결 능력에서 개와 동등한 수준을 보였으나, 인간과의 친화력은 개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의 DNA 검사를 통해 유전적 변화와 행동 사이의 연관성이 밝혀졌으며, 이것은 희귀한 유전 증후군이 인간에게 끼치는 변화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 국립보건원의 일레인 오스트랜더 박사는 "개의 유전자에서 일어난 작은 변이에서 인간에게 일어난 중대한 유전 증후군의 결과를 알아낼 수 있었다"며, 인간 질병의 연구에 개의 유전자연구가 유용하다고 BBC 웹사이트를 통해 밝혔다.
Jennylyn Gianan fam1@pcss.co.kr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