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팸타임스 Jennylyn Gianan 기자 ] 여름은 휴가철로 가족 여행 등 야외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이런 화창한 날씨를 즐길 때 위험한 식물을 조심해야 한다.
여름이 되면 식물이 무성해지고 봄에 핀 꽃들이 아직 만발하다. 그 중 많은 종류가 매우 아름답고 매력적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우리가 집에서 키우는 식물 중에서 반려동물과 어린이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식물들도 많다.
반려식물로 많이 키우는 소철(사고야자)에는 개에게 해로운 독소인 사이카신이 들어있다. 섭취 후 15분 이내에 졸음, 구토 및 설사가 발생하며 곧 사망할 수 있다.
디펜바키아와 필로덴드론은 섭취하면 강렬한 마비, 구토, 구강 염증, 과도한 침흘림, 국부 팽창을 일으킨다.
포인세티아는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어린이나 반려동물이 섭취하면 아플 수 있으며, 참나리는 양이에게 극히 유독하다.
또한 정원 등 외부에 있는 진달래, 철쭉, 델피니움, 헬리오트로프, 투구꽃, 등을 먹으면 위험하다.
서양 담쟁이 덩굴은 혼수상태를 일으킬 수 있으며, 덩굴 옻나무는 가벼운 발진을 일으킨다.
숲속에서 자생하는 식물 중에서 포도와 비슷한 달맞이꽃 포도나무는 인체에 위험한 영향을 끼치며, 벨라돈나 또한 치명적인 식물이다.
메이애플, 미국 자리공, 독당근 등도 섭취해서는 안 된다.
또한 사람이 먹어도 아무 문제 없는 식물도 개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에게 위험할 수 있고 반대로 동물이 먹을 수 있어도 사람이 먹으면 위험한 식물도 존재한다.
호랑가시나무, 쥐똥나무, 주목열매, 붉은 담쟁이 덩굴은 새와 다른 동물들이 이런 열매를 먹는 모습을 볼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사람이 먹으면 위험하다.
먹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된 열매만 먹거나, 직접 심어서 기른 열매만을 먹어야 한다.
반대로 포도와 건포도는 사람이 먹어도 아무 문제없지만 개한테는 좋지 않으며, 양파, 마늘, 샬롯, 파 또한 개와 고양이에게는 좋지 않다.
Jennylyn Gianan fam1@pcss.co.kr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