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의원 연봉 인상에 국민들이 분노했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
국회의원이 본인들의 연봉을 인상하는 예상안을 통과시키자 국민들의 분노가 치솟고있다. 각종 국민을 힘들게 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일은 늦게하거나 하지도 않으면서 본인들의 연봉인상은 '셀프인상'까지 하며 빠르게 예산안을 통과시킨 것이다. 게다가 경제는 최악으로 어려운 상황에 곡회는 제 밥그릇 챙기기에만 급급하다는 비난도 쏟아지고 있다.
| ▲분노한 국민들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글을 올렸다(출처=청와대 홈페이지 캡처) |
국회는 8일 내년 국회의원 세비를 공무원 공통보수 증가율인 1.8% 올리는 예산안을 통과했다. 이에 따라 국회의원 1인의 1년 수당은 올해 1억 290만원에서 내년 1억 472만원으로 182만원 증가하게 됐다. 이에 지난 9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국회의원 내년 연봉 2000만원 인상 추진…최저임금 인상률보다 높은 14%…셀프인상을 즉각 중단하라'는 청원에 12만2000여명이 동의했다. 내년 국회의원 1인의 수령액은 총 1억 5176만원이 될 예정이다. 이에 국회사무처는"장관급은 물론 차관급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이라며 "사무실운영비, 차량유지비, 유류대 등은 예산안 편성 기준에 따라 정상적으로 편성되는 관서 운영에 소요되는 경비로 의원 개인의 수입과는 관계가 없다"고 해명했다. 국민들은 "최저임금 오른다고 했을땐 나라가 망한다고 난리치더니 본인들 연봉인상에는 빠르게 예산 통과를 한다" "니들이 하는게 게 있다고 이럴땐 여야합의가 기가 막히게 하냐" "오히려 연봉을 삭감해야하는 것 아니냐" "선진국들은 국회의원은 봉사직이라서 다른 직장이 있고 국회 일을 부가적으로 하는거다"며 크게 분노했다.
| ▲서울시장 박원순의 SNS(출처=박원순 페이스북 캡처) |
세비 인상에 따른 부정적 여론을 의식한 일부 의원들은 세비 인상분을 자진 반납하겠다고 나섰다. 바른미래당은 지난 4일 내년도 세비 인상분을 모두 기부하겠다는 당론을 채택했고 바른미래당 김정화 대변인은 이날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은 상생의 정치를 이루는 선거제 개혁은 내팽개치고 세비 인상에만 만장일치인가"라고 말했다. 민주평화당 유성엽 의원도 본인의 페이스북에 "내년도 예산안 중 국회의원 세비 인상액을 어떤 형태로든 받지 않겠다"고 언급했으며 박원순 서울 시장 또한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는 점점 더 어려워져만 가고 있고 민생도 힘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팸타임스=임채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