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화로운 프랑스 파리 에펠탑 모습(출처=게티이미지뱅크) |
프랑스가 정부의 유류세 인상 등 경제 정책에 항의하는 이른바 '노란 조끼' 시위가 폭력사태로 번지자,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하다가 유류세 인상 조치를 당분간 중단하기로 밝혔다. 지난달 17일 파리 샹젤리제 거리에는 노란조끼를 입은 시민 28만 명이 몰렸고, 24일에는 파리 뿐 아니라 프랑스 전국에서 10만명이 거리로 나왔다. 이 시위는 프랑스를 넘어 벨기에 등 프랑스어권 지방인 왈로니아와 인도양의 프랑스령 레위니옹에까지 퍼졌다. 시민들이 이같이 노란조끼를 입고 나온 이유는 유류세 인상에 반대하기 위해서인데 노란조끼가 프랑스에서 운전자들을 상징하기 때문에 유류세와 관련이 있는데 프랑스에선 2008년부터 차 사고 등 비상상황에서 인명 구조를 원활히 하기 위해 '눈에 잘 띄는 색깔의 상의'를 차 안에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법제화해 형광 노란조끼가 운전자를 상징하게 됐기 때문이다.
| ▲프랑스에서 노란조끼 시위가 열렸다(출처=Jtbc 뉴스 화면 캡처) |
지난달 17일 시작된 노란조끼 시위는 지난 1일 샹젤리제를 비롯한 파리 중심부 곳곳에서 결국 일부 복면을 쓴 무리들이 폭력을 휘두르며 폭력시위로 변하고 말았다. 애초에 시위는 평화롭게 시작됐지만 마스크를 한 일부 시위대가 경찰저지선 돌파를 시도하면서 폭력시위로 변질됐다. 이에 경찰은 최루가스와 물대포를 발사하며 강제해산에 나섰고, 시위대는 경찰 밴 차량 2대에 불을 지르며 저항했다. 경찰은 경찰 차량에 불을 지른 용의자 등 시위대 60여명을 현장에서 체포했다고 경찰 측은 밝혔다. 이에 대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샹젤리제 거리 등 파리 중심가에서 벌어진 폭력 사태에 대해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 ▲조란조끼 시위는 전국으로 번졌다(출처=Jtbc 뉴스 화면 캡처) |
마크롱 대통령은 노란 조끼 시위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고, 굴복하지도 않을 것이라 했지만 파리 한복판에서 과격한 폭력 사태가 난무하고 급기야 사상자까지 발생하자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한발 물러섰다. 마크롱은 현지시간 5일 유류세 인상을 결국 미루기로 했다. AP통신과 영국 일간지 가디언 등에 따르면 프랑스 대통령실인 엘리제궁은 이날 밤 성명을 내고 마크롱 대통령과 에두아르 필리프 총리는 2019년 예산에서 유류세 인상을 제외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벤자맹 그리보 프랑스 정부 대변인은 국무회의가 끝난 뒤 마크롱 대통령이 "각 정파 정당과 노조, 재계 지도자들에게 질서를 되찾자고 호소해달라고 촉구했다"고 전했다. 이어 "마크롱은 폭력시위를 방조하는 세력의 기회주의와 침묵을 규탄하고 정부 당국자들에게 책임감 있게 국정에 임해달라고 당부했다"고 덧붙였다. AP는 유류세 철회 방침에 시위대는 원하는 바를 이뤘지만 마크롱 대통령의 반응이 너무 늦었다는 태도를 보였다며 보통 시민의 문제에서 동떨어져 있다는 비판을 받는 마크롱 대통령을 향한 커지는 분노를 가라앉히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팸타임스=임채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