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윤종신이 앓고 있다고해서 사람들에게 알려진 '크론병'. 입부터 항문까지 소화기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크론병은 만성염증으로 인한 장 질환으로 20~30대에서도 높은 발병률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크론병은 치질과 증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자가진단만으로 쉽게 알기 어렵다.
크론병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서구화된 식습관이나 장내미생물에 대한 비정상적인 장점막 면역 반응, 환경적 요인, 유전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유전적으로 걸리기 쉬운 사람이 어떤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이 유발돼 장의 점막 면역계가 자극되면서 염증이 발생하고 장 점막을 손상시켜 크론병의 증상을 나타난다는 것이다. 크론병은 궤양성 대장염보다 발생률이 드문 편이긴 하지만, 최근 빠른 속도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크론병으로 인한 증상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흔한 증상에는 설사와 복통, 미열, 식욕감퇴 등이 있다. 또한 변을 볼 때 피가 섞여 나오는 혈변과 장 출혈이 생기기도 한다. 치루와 항문루 같은 항문 주위에 생기는 농양이 나타날 수도 있다. 크론병은 소장이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영양분을 제대로 흡수할 수가 없어 비타민 결핍과 빈혈과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도 있다.
크론병은 기본적으로 약물요법을 시행한다. 약물요법에는 염증조절제(아미노산리실산), 스테로이드제제(크로티코스테로이드), 면역조절제(아자치오프린 등) 등이 사용된다. 약물요법으로 더 이상 질병의 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나 장천공, 협착으로 인한 장폐쇄, 항문치루 등이 있을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크론병에 좋은 음식으로는 쌀밥, 찹쌀, 붉은 밭, 참깨, 현미와 같은 곡류와 버섯, 미나리, 깻잎, 오이, 가지 등 채소류 그리고 수박, 키위, 메론, 사과, 포도 등의 과일류가 있다. 반면 지방이 많은 육식이나 유제품, 자극이 심한 향신료, 알코올, 커피, 탄산음료, 섬유질이 많은 채소는 가급적 피해야 한다.
[팸타임스=조현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