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의 약 15%가 경험할 정도로 흔한 질환인 변비는 식이섬유가 부족한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량이 늘고 운동부족, 잦은 다이어트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변비는 여성이 남성보다 약 4배 높다고 알려져 있다. 변비는 1주일에 배변횟수가 3번미만으로 줄고 변이 단단해 많은 힘을 필요로 하고 배변 후에도 개운하지 않는 등 다양한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많은 사람들이 변비를 가볍게 여기지만 장기화되어 화장실에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배변 시 단단해진 변으로 인해 항문에 상처가 쉽게 생기는 등 치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치질은 항문대장질환을 총 일컫는다. 치질은 딱딱해진 변 때문에 배변 시 항문이 찢어지는 치열, 무리하게 증가한 항문압력으로 인해 항문 밖으로 혈관총이 늘어진 치핵 등 증상에 따라 다양하다. 치질이 심한 경우에는 응급실을 찾기도 한다.
치질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초기에는 항문의 주위를 청결하게 하고 변비치료, 배변습관 개선, 식습관 개선, 약물요법, 온수 좌욕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늘어진 치핵이 대변을 볼 때마다 항문 밖으로 나와 들어가지 않거나 통증 및 출혈을 계속 유발할 때는 전문의와 상의한 후 시술 및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치질환자에게 음주와 스트레스는 독이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줄이고 금주를 해야 한다.
[팸타임스=이영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