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접촉성피부염, 원인부터 주요증상, 치료방법 까지

조현우 2018-12-03 00:00:00

접촉성피부염, 원인부터 주요증상, 치료방법 까지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접촉성 피부염

접촉성피부염은 외부 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생기는 모든 피부염을 말한다. 접촉물질 자체의 자극에 의해 생기는 '원발성 접촉피부염'과 접촉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사람에게만 생기는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접촉성 피부염 증상

통상적인 증상으로 주로 홍반과 부종 등을 동반한 습진 형태가 나타난다. 또한 여드름성 병변, 두드러기성 병변, 다형 홍반, 색소침착, 육아종성 병변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접촉성피부염 원인

원발성 접촉핍부염은 비누, 세제 등과 같은 알칼리와 산, 기저귀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비누, 표백제, 세제 등 가정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세제들이 주부습진을 포함한 습진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인 물질들은 수없이 많다.

알레르기성 접촉염의 경우에는 식물, 금속, 화장품, 방부제, 고무 등 많은 원인 물질이 있다. 대표적으로 흔하게 피부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것은 옻나무이다. 야생 옻나무 즙뿐만 아니라 옻칠을 사용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옻닭을 먹은 후 전신에 구진성 홍반이 발생하는 피부염이 흔히 관찰된다. 다른 원인으로는 금속 중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물질인 니켈, 크롬, 코발트 및 수은 등이 있다.

접촉성 피부염 치료

접촉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선 피부염을 일으킨 원인 물질을 확인한 후 접촉을 피하고, 찬 물을 피부에 닿아 증상을 완화시켜야 한다. 이미 발생한 접촉성피부염의 치료는 습진의 일반적인 원칙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홍반과 부종 수포, 진물 증상은 냉습포를 시행해 수포성 병변을 말리고 수분이 많은 크림과 로션을 사용한다. 만성 접촉성 피부염의 경우에는 기름기가 많은 연고나 크림제가 효과적이며 그 외 전신적으로 병변이 퍼져있는 경우 스테로이드가 도움이 된다. 그러나 증상이 나타난 부분을 긁거나 전문이의 처방을 받지 않은 연고를 바르는 것은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image widget

[팸타임스=조현우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