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형 일자리가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출처=SBS CNBC) |
'사회적 대타협 모델'로 주목받는 광주형 일자리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오늘(27일) 오전에는 광주형 일자리 관련 긴급 좌담회가 열렸다. 광주형 일자리에 관심 있는 다른 지역에 정부 예산을 투입할 수도 있다는 압박성 발언 등 관련 소식도 전해진다.
| ▲광주형 일자리가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출처=SBS CNBC) |
광주형 일자리란 근로자 임금을 줄이는 대신, 일자리는 늘리자는 내용이 핵심이다. 지난 2014년 윤장현 광주시장이 선거공약으로 내놓은 바 있다. 이후 광주광역시가 현대자동차 등에 제안했다. 광주형 일자리는 기업이 낮은 임금으로 근로자를 고용하는 대신, 정부·지방자치단체가 주거·복지 등의 지원을 통해 낮은 임금을 보전한다는 계획이다. 광주형 핵심 의제는 △적정 임금 △적정 노동시간 △노사 책임 경영 △원·하청 관계 개선 등이다. 이를 위해 광주시와 현대차는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이를 통한 완성차 공장 설립 등을 추진했다. 지난 5월 현대차는 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바 있다.
| ▲광주형 일자리가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출처=SBS CNBC) |
광주형 일자리 원안은 △기존 근로자의 반값(3500만~4000만 원) 주거 등 복지, 정부와 시가 지원 △주 44시간 노동시간 △근로자 경영 참여, 5년간 임금·단체 협약 협상 유예 △연 10만 대 경형 SUV 생산 등이다. 하지만 광주시와 지역 노동계가 합의문을 작성한 뒤 일각에서 반발 여론이 일고 있다. 노동계와 협상 후에는 △동일노동·동일임금 원칙으로 한 적정임금 추후 책정 △주 40시간 노동시간 △노사협의회 대폭 확대, 매년 임단협 진행 △생산라인 교체 수명 이르면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 기지로 전환 등으로 내용이 변경됐다. 이에 자동차 업계는 물론, 민주노총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 ▲광주형 일자리 합의가 12월 2일까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출처=SBS CNBC) |
오늘(27일) 오전 '광주형 일자리 공모제 전환을 위한 긴급 좌담회'가 열렸다. '광주형 일자리'가 광주에서 합의되지 않을 시 타 지역을 대상으로 공모하는 내용 등이 나왔다. 국회 예산안 심사 법정 기한인 12월 2일까지다. 이때까지 광주형 일자리가 합의되지 않으면 공모제로 전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제조업 위기에 몰렸던 군산, 거제, 창원 등도 거론, 다른 지역 간 경쟁도 가능하다는 것. 좌초 위기를 겪는 '현대자동차 광주공장' 광주형 일자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팸타임스=김현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