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 섬유선종은 보통 환자 자신이 가슴 또는 겨드랑이 등 부위를 관찰하던 중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대개 크기가 1~2cm 이며 고무와 같은 탄력성을 지니며 살짝 눌렀을 때 통증이 없고 경계가 명확하면서 움직이기도 한 유동성이 특징이다. 멍울이 만져지면 유방암일 수 있다. 하지만 덩어리가 만져진다고 모두 암인 것은 아니다. 유방 섬유선종 같은 양성 종양인 경우가 더 많다.
유방에 생기는 대표적인 양성 종양으로 20, 30대 젊은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상대적으로 성장 속도가 느리고 암세포처럼 다른 신체 부위로 전이를 하지 않는다. 유선의 말단 부위인 유선소엽과 그 주변의 결합조직이 과도하게 증식하며 생긴다. 섬유선종이 생기는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까진 여성호르몬의 과도한 자극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생리주기 동안에 크기와 증상 등이 변할 수 있다.
유방 섬유선종이 의심되면 유방촬영, 유방 초음파를 통해 최종 진단을 내린다. 종양을 발견한다고 모두 조직검사를 하는 것은 아니다. 종양 모양에 따라 유방암의 가능성을 분류해 검사한다. 검사 결과 제거가 필요하면 수술을 할 수도 있다. 집에서 진단을 할 수 있는데 유방 모양 윤곽에 변화가 있는 거울로 관찰, 앉거나 서서 촉진하기 검진하는 유방 쪽 팔을 들어 올려 손가락 끝으로 검진할 수 있다. 자가 검진 시 주의깊게 봐야 할 것은 멍울, 통증, 유두 분비물, 유방 피부, 크기, 위치 변화이다.
[팸타임스=강윤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