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내과명의가 필요한 중대한 질환

윤보연 2018-10-23 00:00:00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내과명의가 필요한 중대한 질환
▲관상동맥이 막혀 발생하는 '협심증'(출처=게티이미지뱅크)

심장은 피를 모으고 짜는 역할을 하며 전신의 각 기관에 피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심장이 일을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혈액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질환에 걸렸을 때에는 심장이 제대로 일을 하지 못할 수 있다. 심장에 발생하는 각종 혈류 관련 질환은 동맥경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혈압이 좋지 못하여 일어나거나 혈액순환이 제대로 되지 못하여 발생하게 된다. 심장에는 우관상동맥과 좌관상동맥으로 나뉘어지는 관상동맥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 부분이 막히게 되거나 경련이 일어나서 결과적으로는 혈액 공급이 충분히 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통증을 협심증이라고 한다. 대부분 염증세포나 지방으로 인하여 플라크가 형성이 됨으로써 관상동맥을 막게 되어 협심증이 일어나는 것이다. 변이형 협심증에 걸릴 경우에는 먹은 음식이 잘 내려가지 않는 것과 같은 증상을 느낄 수 있으며 가슴에 통증이 일어난다. 가끔씩 턱이나 목, 등에 협심증의 방사통이 발생할 수 있어 턱이나 목이 아프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가슴에 일어나는 통증은 협심증이 아닌 심근경색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기타 심장질환이나 폐 질환, 소화기계 질환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기에 심장내과명의를 찾아 알맞은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내과명의가 필요한 중대한 질환
▲협심증은 심전도 등의 검사로 발견한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협심증의 증상과 검사

협심증의 증상은 가만히 있을 때, 안정을 취할 때에는 좀처럼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에 갑자기 뛰거나 흥분을 한 경우에 협심증 통증이 일어날 수 있으며 격한 운동을 할 때에도 일어나게 된다. 협심증 검사를 위하여 전극을 통한 심전도 검사를 하고, 흉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며 혈액검사를 한다. 혹은 부하검사나 핵영상 스캔을 실시할 수 있다. 심장내과전문의을 찾아 자신의 증상과 통증의 양상을 언급하며 알맞은 검사를 받아 자신의 병명을 진단해보자.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내과명의가 필요한 중대한 질환
▲협심증에 좋은 '토마토'를 섭취하자(출처=게티이미지뱅크)

협심증에 좋은 음식

협심증에 좋은 음식으로는 혈관 건강을 유지하는데에 기여하는 '라이코펜'성분이 함유된 토마토를 들 수 있다. 무기질이 풍부하게 들어있으며 단백질의 함량 또한 넉넉한 버섯 역시 협심증에 좋은 음식으로 챙겨먹을 수 있다. 더불어 해독 기능을 하고 협심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높은 콜레스테롤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마늘을 챙겨먹는것도 협심증에 유리한 습관이다.

[팸타임스=윤보연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