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없이 발이 간지럽다면, 손발톱무좀을 의심해볼 수 있다. 무좀은 표재성 곰팡이증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무좀 뜻은 피부의 가장 외부에 위치해 있는 각질층이나 손톱, 발톱, 혹은 머리카락에 곰팡이가 생김으로써 증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무좀은 그 원인에 따라서 백선이나 어루러기, 칸디다증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발에 일어난 백선을 무좀이라고 하며, 병원 방문을 통한 무좀 치료법으로 무좀 증상 개선에 일조할 수 있다. 무좀 치료법에 앞서 무좀이 일어나는 원인과 관련 증상을 알아보도록 하자.
무좀은 적색 백선균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무좀 환자와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거나 같은 수건 혹은 신발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옮길 수 있다. 혹은 목욕탕이나 수영장을 무좀에 걸린 사람과 같이 사용했을 경우에도 무좀 곰팡이가 옮겨올 수 있으니 평소에 청결에 신경을 써야 한다. 손발롭무좀은 무좀에 걸린 사람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인설을 통하여 전염된다. 당뇨병을 가지고 있거나 발에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더욱 무좀이 옮게 될 수 있다.무좀 증상은 4~5번째 발가락이나 3~4번째 발가락의 사이에 제일 많이 생기며 하얗게 되고 불쾌한 냄새가 나기도 한다. 가려움증이 일어나거나 가려운 증상이 두드러지는 물집이 잡히기도 한다. 사람에 따라 가려움증이 나타나지 않고 발바닥의 각질이 전반적으로 두꺼워지는 경우가 있다.
발톱무좀을 치료하기 전에는 KOH 도말검사를 통하여 인설을 긁어 모아 현미경으로 관찰한 다음에 곰팡이균이 있는지 확인한다. 그 후에는 항진균제 연고를 발라 무좀 치료법을 적용한다. 항진균제 연고를 적용할 때에는 하루에 1~2번 정도 연고에 명시된 사용법을 준수해야한다. 만약 무좀 증상이 더이상 발현되지 않을 때에도 완전한 무좀치료를 위하여 2~3주동안 무좀 치료법인 항진균제 연고를 발라주는것이 좋다. 염증이 발생할 경우에는 병원에 들러 항생제를 처방받아 복용해야 한다. 무좀 민간요법으로써 식초 물에 발을 담그면 좋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일시적인 효과만 볼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가려움증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무좀 민간요법보다는 항진균제를 이용하여 무좀을 치료하는 것이 좋다.
[팸타임스=윤보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