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자세현훈이라고도 불리는 이석증은 내이의 반고리관에 이동성이 있는 결석이 생기게 되어 결과적으로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일컫는다. 이석증은 특정한 체위를 취하였을 때 눈이 떨려 초점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증상으로 정확한 이석증 원인과 생리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석증으로 인한 어지럼증은 몇 초에서 1분 안으로 지속되며, 핑 도는 듯한 회전성 어지럼증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석증 원인으로는 머리에 외상을 입은 경험이 있거나 메니에르병에 걸렸을 경우, 귀 수술이나 전정신경염이 있는 경우가 있으며 감염으로 인하여 발생되기도 한다. 외상으로 인한 이석증은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감염으로 인한 이석증 발병은 중년의 나이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석증에 걸리면 내이 반고리관에 위치한 팽대정 혹은 내림프액에 발생한 파편이 이석증 원인이 되어 자세에 따라 어지럼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석증 증상이 나타난 귀가 바닥을 향하도록 누우면 결석이 움직이게 되어 반고리관 내에 있는 림프액이 흐르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이석증 환자는 어지럼증을 느끼게 된다. 이석증이 있으면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려고 할 때 갑자기 핑 도는 현기증을 느끼게 된다. 더불어 오심이나 구토 등의 소화기 증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식은땀이 흐르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석으로 인한 현기증은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 자세를 취하면 증상이 이내 사라진다.
이석증으로 인한 현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머리 위치를 갑자기 바꾸는 행위를 하지 않는것이 좋다.
이석증 병원에서 확진하기 위해서는 이비인후과에서 딕스 홀파이크 검사를 실시한다. 이는 머리를 침대에서 벗어나게 하여 밑으로 떨어뜨린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며 이 때 반고리관 안에 있는 석회 부유물이 떨어지면서 안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석증 병원 치료는 변형 에플리 방법으로 부유물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게 하는 것이다. 에플리 방법을 한 번 시행해서 효과를 보지 못할 경우에는 몇 차례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증상을 개선해나간다. 이석증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도 일부의 환자에게서는 재발하는 경우가 있어 다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팸타임스=윤보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