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식도염은 우리 주변에서 앓고 있는 사람을 흔히 볼 수 있다. 역류성식도염은 위장관련 질병으로 음식을 먹고 바로 눕는 습관을 가진 사람에게 자주 발생하거나, 역류성식도염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식사 후 눕는 것을 피한다 할지라도 역류성식도염증상이 개선되는 경우는 드물어 병원을 내원하여 역류성식도염치료와 함께 다른 역류성식도염의 위험인자를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역류성식도염원인은 정상적인 위식도 경계 부위가 닫혀 있지 못하고 느슨하게 되어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게 되는 조절 기능의 장애 때문이다.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함으로써 이에 따른 불편감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이 지속되는 경우 만성적인 역류가 발생하여 위산에 의해 역류성식도염이 발생한다.
역류성식도염증상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함으로써 발생하는 가슴 쓰림, 가슴의 답답함, 속쓰림, 신트림, 목에 이물질이 걸린 듯한 느낌, 목이 타는 느낌, 목소리 변화, 가슴 통증등이 있다. 가슴 통증의 경우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흉통으로 심장질환으로 오인할 수 있어 역류성식도염증상을 앓는 환자들이 심장내과를 가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고 한다.
역류성식도염치료는 역류성식도염 증상과 내시경 검사로 진단이 이루어져 확진이 되었을 때 위산 분비 억제제 투여로 치료를 한다. 보통 환자들의 경우 만성적인 경과를 밟게 되며 합병증이 드물지만 식도염 및 식도암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 위산을 억제하는 역류성식도염 약 복용과 함께 생활습관도 개선이 필요하다. 비만이라면 체중을 줄여야 하며, 흡연과 금주는 삼가는 역류성식도염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삼가는 것이 좋다. 또한 평소 역류성식도염에좋은음식으로 식습관을 바꾸는 것이 좋다. 위의 산성을 중화하는 역할을 하는 시금치, 위장을 보호하고 속쓰림 증상을 개선하는 마, 위점막을 보호해주는 양배추 등이 역류성식도염에좋은음식이며, 그 밖에 기름진 음식, 과식, 취침 직전의 음식 섭취, 카페인 음료, 탄산음료 등은 역류성식도염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팸타임스=윤보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