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궁외임신은 수정란이 자궁 내막에 착상되지 않고 난소에서 나온 난자를 자궁까지 운반하는 난관, 난자를 생산하는 난소, 자궁을 지지하는 여러 인대, 복강,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자궁경부 등에 착상되는 임신을 말한다.
이러한 자궁외임신은 염증이나 감염에 의한 손상이나 난관 수술 후에 발생하는 물리적 난관 손상 등이 주된 원인으로 꼽히며 특별한 전조 증상이 없어 초음파 검사 결과 아기집이 보이지 않아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또는 생리와 비슷한 질 출혈, 복부 통증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여 발견된다.
자궁외임신일 경우 수술을 통한 치료방법 혹은 항암주사를 사용하는 약물적 치료를 할 수 있다. 수술은 주로 복강경 수술을 통해 진행되는데 복강경 수술은 자궁의 근종, 선근증, 난소낭종, 자궁내막증 및 불임의 원인을 찾기 위한 진단과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산부인과의 복강경수술 치료는 수술시간과 회복기간이 짧고 감염 및 부작용 위험도 비교적 적다. 최근에는 더욱 발전된 단일공 복강경 수술 방법으로 수술 후 통증 및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안산 여성병원 미즈피아 산부인과 김성태 대표원장은 "자궁외임신은 난관 손상으로 인해 추후 임신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수술 전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법을 결정하는 것이 좋으며, 복강경 수술은 개복수술기법에 비해 어려워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에게 받아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자궁질환은 가임기 여성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부인과적 질환으로 평소 생리통이 심하거나 갑자기 심해진 경우, 생리주기가 변하는 등의 생리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여의사 산부인과 등 의료기관을 찾아 진단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팸타임스=함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