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대치아교정 치과 연세여우치과 김두형 원장 |
신체는 태생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부분들이지만 건강증진 혹은 외모관리를 위해 의술의 도움을 받아 개선시켜 나아가곤 한다. 그 중에서도 치아는 음식물의 1차적인 처리라는 기능과 함께 외관상 중요한 역할까지 하고 있어 특히 신경 쓰이는 신체부위다.
만일 치아가 바르지 않아 기능적, 심미적으로 이상이 있다면 교정치과의 치아교정 치료를 통해 치아는 물론 잇몸건강까지 회복할 수 있고 가지런한 치열로 훨씬 더 좋은 인상도 만들 수 있다. 때문에 치과를 찾아 교정치료를 받는 환자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고 지금과 같은 방학기간이면 치아교정을 시작하고자 하는 청소년들도 많아진다. 아무래도 요즘은 호감적인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다 보니 연령을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교정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치아교정에 대해 높은 관심이 쏠리는 만큼 잘못된 상식들도 많이 알려져 있는 부분도 있다. 이에 홍대치아교정 치과 연세여우치과 김두형 원장은 몇 가지 잘못 알기 쉬운 치아교정 상식을 소개했다.
김 원장이 전하는 잘못된 치아교정 내용으로 우선 '성인들의 치아교정은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치아교정은 청소년기에 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치아교정 자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치아를 바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이 기본인 만큼 성장기 청소년이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성인들도 건강하고 가지런한 치아와 우수한 저작기능을 갖고자 한다면 치아교정은 가능한데다 사회생활 과정에서 교정장치의 불편함을 없앤 투명교정과 같이 각종 치아교정 방법들도 개발되어 치아교정은 연령을 불문하고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치료라는 것이 김 원장의 설명이다.
또한 '치아교정을 한 후에는 치아가 약해질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이 역시 잘못된 내용으로써 김 원장은 무조건적인 사실이 아닌, 치아교정 과정에서의 관리소홀이나 제대로 교정에 임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정도는 있다고 전한다. 긴 기간 동안 교정장치를 끼우고 생활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병행되므로 꼼꼼한 구강관리를 자칫 못할 수 있어 치과치료를 병행하는 경우는 있지만 치아교정 자체가 치아를 약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항간에 떠도는 '치아교정을 하면 턱관절에 이상이 생긴다'는 속설도 역시 잘못된 내용이다. 치아교정 시에는 교정장치로 인해 불편함을 느낄 뿐 특정 부분이 이상이 생기는 것은 아니며 치아교정 전 비정상교합 상태로 오래 됐다면 교정장치의 불편함이 부딪히며 이상이 생겼다고 느낄 수 있다.
홍대치과 김두형 원장은 "치아교정을 찾는 환자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풍문에 있는 치아교정의 상식을 문의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그 중에는 이런 잘못 알려진 내용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며 "때문에 전해들은 이야기는 꼭 교정치과 의사에 문의하고 상담을 나누길 권해 드린다"고 전했다.
[팸타임스=박태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