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현대인들은 습관화된 스마트폰, PC의 사용으로 인해 잦은 질병을 얻고 있다. 그 중에서 '손목터널증후군'이 있다. 이는 손목 통증 질환으로 주로 손을 활용하는 직장인 및 주부들에게 흔하게 나타났으나 최근에는 젊은 연령층이나 어린아이들에게까지도 적지 않게 발생하는 질환이 됐다.
손목터널 증후군은 수근관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이 굴을 지나가는 구조물 중의 하나인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발생한다.
손목의 반복된 사용으로 염증이 생기거나 근육 및 인대가 부어 엄지손가락과 두 번째, 세 번째, 그리고 네 번째 손가락의 반의 감각과 엄지손가락의 운동 기능의 일부를 담당하는 정중 신경이 압박되어, 손과 손가락의 저림, 통증, 감각저하, 부종, 힘의 약화 등이 나타나는 말초신경 압박 증후군이 바로 손목터널 증후군이다.
과거에는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이나 주부들이 손목 질환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사용이 늘어나면서 성별이나 나이와 관계없이 손목과 손가락을 무리하게 써서 손목 통증을 느끼는 이들이 많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은 엄지, 검지, 중지의 손가락 및 손바닥 부위의 저림 및 통증, 야간 통곡, 손 저림, 감각 이상 등이다.
문제는 초기에 통증이 심하지 않아 방치하기 쉽다. 증상이 서서히 심해지면 엄지, 검지, 중지, 손바닥 부위가 타는 듯한 통증과 손 저림, 물건을 잡아도 감촉을 느끼지 못하는 증상 등 이상 감각이 나타난다. 하지만 계속 방치한다면 엄지손가락 쪽 근육과 엄지손가락의 두툼한 부분에 근위축이 생길 수 있으며, 치료를 하지 않으면 손가락이 잘 펴지지 않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되도록 손의 사용을 줄이고,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 중 체외충격파는 몸 밖에서 높은 에너지의 음파를 손상부위에 조사하여 분해와 재생을 시키는 원리로 치료한다.
고에너지의 충격파로 관절 사이 염증물질과 석회질을 분해시키고, 병변 부위에 신생 혈관의 생성을 유도하여 혈류 공급을 증가시켜 조직을 재생시킨다
또한 체외충격파 치료는 절개나 마취가 없기 때문에 흉터가 남거나 부작용의 위험이 거의 없다. 약 10분~15분 정도의 짧은 치료시간 이후에는 바로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어 통원 치료가 가능하다.
성동구 뚝섬 준정형외과 오정석 원장은 "손목터널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손목과 손가락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하지만 손목은 특성상 사용에 제한을 두기 어려워 증상이 쉽게 악화되는 질환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손목터널증후군은 초기에 증상이 발생했을 때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일상에서의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팸타임스=박태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