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세 시대' 중년층 치아 교정 환자가 늘고 있다. 중장년층의 치아 교정이 늘어난 것은 단지 심미성의 이유만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치열을 고르게 개선해 심미성을 회복하는 것을 치아 교정이라고 생각하지만 치열이 고르지 않으면 음식물을 씹는 능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충치 등 다양한 치주 질환에 노출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중년층의 치아교정은 건강을 위해 필요한 치료다.
나이가 들면서 치아 역시 노화한다. 가지런했던 치아도 잇몸이 약해지고 마모되면서 치아 사이가 벌어지거나 앞니가 돌출하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중년층의 경우 노화가 진행되면 치아가 소실돼 임플란트 같은 보철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많은데, 염증으로 잇몸 뼈가 흡수되지 않는 이상 중·장년층 치아 교정은 가능하다. 단 만성 질환이 있다면 치아 교정 이전에 관련 질환에 대해 관리가 필요하다.
심한 치주질환이나 충치가 있다면 교정 전에 먼저 치료를 해야 하고, 골다공증 약을 복용중이라면 전문의와 상의 후 교정치료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중년층의 치아 교정 시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구강 건강관리다. 교정 장치가 불편하다고 칫솔질을 게을리 하면 치아와 잇몸이 나빠질 수 있다. 올바른 칫솔질과 정기적인 스케일링으로 구강 관리를 꼼꼼히 해야 성공적인 교정 치료로 이어진다. 또한, 교정 전 잇몸상태와 치아의 교합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교정이 끝나고도 사후관리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체계적인 책임 진료시스템을 꼼꼼하게 따져보는 것도 중요하다.
사과나무치과병원 교정과 이다혜 부원장은 "중년층 교정의 경우 나이와 상황에 따라 개인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교정 전 치료가능 여부와 효과를 충분히 상의하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팸타임스=박태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