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국대학교 필라테스지도자 아카데미에서 7 ~ 9월 '국제국내필라테스지도자 자격증과정'과 '총장명의 체육학 학사학위 취득과정'을 모집한다.
정식 명칭은 'DGPA 필라테스지도자 1 ~ 4코스'이며 매 월마다 매주 <주중 화수목>오전, 오후, 야간 <주말 토일> 오후 시간대에 모집을 하고 있으며 수업장소는 동국대학교 본교(서울)에서 받게 된다.
총 4가지 코스별로 필라테스자격증취득비용과 교육내용이 상이하며 대표적인 DGPA 3코스로는 모던매트와 전통재활매트를 기본으로 소도구 링, 밴드, 재활에 필요한 볼, 폼롤러 수업을 받게 된다. 그 외 필라테스의 대표적인 4가지 기구 리포머, 캐딜락, 체어, 바랠, 아크바랠 수업이 포함 돼 있고, 휘트니스에 활용되고 있는 보수, 토닝볼, 재활마사지, 재활테이핑 등의 실기를 함께 받게 된다.
그리고 필라테스지도자 과정에서 실기 못지 않게 기초가 바탕이 되어야 하는 이론 부분에서는 필라테스 이론부터, 기초 해부학, 스포츠의학, 비만체형관리 이론, 건강관리이론 및 교육학 지도법을 수업하며, 필라테스 이론수업의 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재활실기이론은 크게 '디스크(경추, 허리, 척추측만증)의 이해', '상체(근막통증증후군, 팔꿈치통증, 손목터널증후군, 어깨회전근개 손상)', '하체(무릎연골, 관절 통증, 발목염좌, 족저근막, 아킬레스 건염, 휜다리)' 3가지로 나누어 교육을 받게 된다.
해당 코스를 마치게 되면 '동국대학교 필라테스지도자 DGPA-3코스 수료증'이 대학교 이름으로 발급이 되며, 자격증으로 '국제필라테스지도자 프로페셔널', '매트필라테스지도자', '소도구필라테스지도자', '기구필라테스지도자', '재활필라테스지도자'의 국내자격증에 국제라이센스까지 포함해서 받게 된다.
해당 관계자는 "필라테스자격증 과정 외 요가지도자자격증 과정도 운영되고 있으며 필라테스코스와 마찬가지로 세분화되어 있어서, 수준별로 국제국내요자가격증 취득과 국내 체육학학사학위 취득이 가능하다'라고 했다.
발급되는 모든 자격증은 자격기본법 제 17조 1항에 의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등록이 된 자격증이며 미국 USA캘리포니아주 주정부에 등록이 되어 있는 기관에서 국제자격증도 함께 발급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동국대학교 필라테스 홈페이지나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팸타임스=함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