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까다로운 식습관 가진 자녀,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

고진아 2018-07-30 00:00:00

까다로운 식습관 가진 자녀,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
▲엄마가 주는 음식을 거부하는 아이(출처=셔터스톡)

자신의 자녀가 모든 음식을 가리지 않고 골고루 먹길 바라는 마음은 모든 부모들의 바람이지만, 아이들은 때때로 까다로운 식성을 보이며 특정 음식에 강한 거부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아직 어린 아이들이 더 많은 음식을 맛볼 수 있는 충분한 경험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쓴맛이나 신맛이 조금이라도 가미됐다면 이를 감당하기 어려워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달콤한 맛을 첨가한 쓴맛과 신맛은 충분히 아이들이 먹을 수 있다고 존언한다.

이와 관련해 부모가 자녀의 식습관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부모의 역할 모델

자녀는 때때로 완고하고 고집스러운 모습을 보이면서도 부모의 말을 듣고 이를 모방하는 성향이 강하다. 부모는 이런 점을 활용해 아이에게 좋은 역할 모델이 될 수 있어야 한다. 가령 아이가 음식을 골고루 먹지 않는다고 해서 윽박지르고 소리를 지르는 것은 금물이다. 아동 영양학자인 맨디 사처는 자녀에게 몸안에 있는 음식의 이점을 깨닫게해주면서 긍정적인 방식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는 아이가 스스로 좋은 음식을 몸안으로 가져가도록 동기부여하는데 도움이 된다.

음식 블로그인 푸드52의 한 게시물에 따르면, 부모가 아이아 홤께 식료품 쇼핑을 가는 것은 아이의 식습관 개선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아이와 함께 마트에서 카트를 몰며 직접 필요한 재료와 식품, 즉 과일과 채소를 담을 수 있도록 하면 이는 좋은 경험으로 인지되면서 아이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쇼핑을 하면서 각 재료의 중요성에 대해 아이에게 설명해주는 것도 좋다.

부모는 이와 동시에 아이의 식습관이 까다롭다고 생각하는 대신, 자녀 앞에서 직접 음식을 즐기고 맛보는 행동을 보여줌으로써 강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식사 시간 중 건강에 해로울 수 있는 부적절한 대화나 토론을 하는 것은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어 매우 나쁘다. 이는 아이에게 식사 시간이 악몽과도 같다는 인식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까다로운 식습관 가진 자녀,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
▲아이와 같이 식료품 쇼핑을 하는 부모(출처=셔터스톡)

자녀 관찰

자녀의 식습관을 항상 모니터하면서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은 부모로써 막중한 책임이자 의무다. 이때 자녀의 식습관이 심각하게 까다롭다고 판단된다면, 가장 먼저 소아와 의사나 기타 전문가와 상의해 자녀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자녀의 키와 몸무게를 잴 수 있는 성장도표를 활용해 의사에게 충분한 정보를 줄 수 있어야 한다. 성장도표는 아이의 연령대에 맞는 표준 기준치와 비교해 아이의 영양 상태를 알아볼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이외에도 자녀의 식품 선택 패턴을 추적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너무 많은 과자나 스택을 먹는다면, 이런 습관을 피할 수 있도록 다른 새로운 음식을 소개하면서 아이가 새 음식에 친근해지도록 격려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식사 시간 도중 TV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식사를 방해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삭사 시간의 산만함을 방지해 음식에 집중하면서 섭취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 아이가 패스트 푸드 등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을 먹고 싶어한다며, 집에서 직접 다른 영양가 있는 재료로 만들어 주는 것이 훨씬 좋다. 아이와 함께 직접 요리를 하고 아이를 식사 준비에 참여시키는 것 역시 음식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부모와 자녀간 유대감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까다로운 식습관 가진 자녀,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
▲엄마가 만든 샐러드를 맛있게 먹는 아이(출처=셔터스톡)

긍정적 확신

이러한 모든 노력으로 이제 아이가 부모가 권장하는 음식을 먹기 시작하면서 식습관이 어느 정도 교정되기 시작한다면, 긍정적인 확신으로 완벽한 해결을 모색하는 것이 좋다. 아이들은 부모가 자신을 자랑스러워하는 것을 원하고 좋아하기 때문에, 아이의 식습관 개선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또한, 아이가 부모가 권장한 음식을 모두 다 남기없이 먹었다면 약간의 보상을 가해 아이의 좋은 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가령 직접 만든 달콤한 디저트나 스무디 등으로, 아이는 이런 보상을 받은 후에는 자신이 올바른 행동을 했다는 것을 인식하고 다음 번에도 부모를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팸타임스=고진아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