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안과 백내장은 증상이 비슷해서 많은 사람들이 혼동을 하는 대표적인 안과질환이다. 어느 순간부터 스마트폰으로 문자를 치는 것이 힘들고 신문이나 책을 멀리 떨어뜨려야 보이기 시작한다면 노안이 시작된 것이다. 노안이 오게 되면 일반적으로 눈의 피로와 침침함을 느끼고 가까운 글씨를 읽을 때 멀리 떨어져서 봐야 하는 증상을 보인다. 노안은 보통40대 이후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사용으로 점점 노안이 찾아오는 시기는 빨라지고 있는 현실이다.
백내장 역시도 일종의 노화현상으로 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가 뿌옇고 흐릿하게 보이는 증상으로부터 시작이 된다. 이러한 노안과 백내장은 모두 40대 이후 본격화되는 노인성 질환으로 꼽힌다. 하지만 다른 점은 노안의 경우 시력이 떨어지고 보는 것이 답답하고 불편함을 느끼는 반면 백내장의 경우엔 자칫 오랫동안 방치를 하면 시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문제는 40대가 지난 사람들의 경우 시야가 흐리거나 답답함이 느껴지면 '늙었나 보다' '노안인가' 하면서 가볍게 여긴다는 것이다. 사실 노안도 삶의 질을 떨어뜨릴 만큼 생활에 많은 불편을 주는 성인병임에도 노화에 대한 인식이 무딘 편이다.
나중에 심하게 일상생활의 불편을 느끼고 나서야 환자는 안과를 찾게 되는데 노안과 백내장이 같이 찾아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시야가 흐릿해지고 답답함을 느끼는 노안과 백내장의 증상이 거의 비슷해서 일반인이 자각 증상만으로 이 두 가지를 구별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때문에 40대 이후의 중장년 층이라면 1년 간격으로 안과를 찾아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같은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정기검진은 필수다.
정밀검사 후에 노안만 있는 경우라면 레이저를 이용한 노안라식, 노안라섹 수술로 개선이 가능하다. 만약 각 막 두께가 얇거나 초고도근시가 있는 경우라면 레이저 시력교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시력교정이 필요하다.
검사결과 노안과 백내장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을 때는 인공수정체삽입술로 교정치료수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인공수정체삽입술은 백내장으로 인해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바꿔주는 수술이다.
인공수정체삽입술 수술방법은 먼저 백내장을 제거하는 과정과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백내장수술을 할 때에나 노안백내장 수술을 할 때에는 모두 눈 속으로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과정을 거친다.
단 일반 백내장 수술 시 삽입하는 단초점인공수정체는 먼 곳이나 가까운 곳을 선택적으로 잘 보이게 할 수 있지만 초점이 잡히는 거리가 제한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먼 곳을 잘 보이게 도수를 맞추었다면 수술 후엔 가까운 곳을 잘 보이도록 하는 돋보기를 착용해야 하고, 가까운 곳을 잘 보이도록 단초점인공수정체 도수를 맞추었다면 수술 후엔 먼 곳을 보기 위해 원용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하지만 노안백내장 수술에서는 다초점인공수정체나 연속초점인공수정체를 삽입하게 되는데 이 인공수정체의 경우 먼 곳, 가까운 곳에 상관없이 모두 잘 보이도록 하는 광 에너지를 적절하게 분산하고 있기 때문에 수술 후 안경이나 돋보기를 착용할 필요가 없다. 다만 노안백내장 수술 후 다초점인공수청체가 시각환경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할 뿐이다.
SNU서울안과 정의상 원장은 "다초점 또는 연속초점 인공수정체를 넣어 원거리와 근거리를 모두 편하게 볼 수 있게 해주는 노안백내장수술은 인공수정체 삽입으로 인한 시각 적응기간만 잘 지내면 이전과 같은 장애나 불편이 없는 편안한 시각활동을 할 수가 있으며 백내장과 노안이 같이 왔다고 해도 수술을 통해서 완치가 될 수 있는 만큼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서 자신에게 맞는 수술법으로 빠르게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팸타임스=박태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