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식을 맛있게 먹고 있는 여자 아이 (출처=123RF) |
'비거니즘(Veganism, 완벽채식주의)은 히피와 '반(反) 물질주의 운동'과 연관이 있는 라이프스타일이다.
비거니즘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동물을 착취하거나 잔인하게 대해서는 안 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음식이나 의류의 용도로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이 때문에 완전 채식주의자들은 육류, 가금류, 어류, 유제품, 꿀, 계란 등을 섭취하지 않으며, 동물로 만든 제품도 사용하지 않는다.
파이낸셜 타임스 과학전문기자인 아냐나 아후자는 최근 몇 년간 동물 복지와 환경,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비거니즘도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 현재 전 세계 수백만 명이 비거니즘을 실천하고 있다. 지난 2016년 '비건 소사이어티'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영국과 스코틀랜드, 웨일스에 54만 2,000명이 완전 채식주의자며, 이들의 절반 이상이 34세 이하다. 이는 지난 2006년 15만 명 대비 상당히 상승한 수치다.
15~34세 연령대에서 완전 채식주의자가 늘어갈수록 그들의 자녀도 채식주의자일 가능성이 높다.
한편, 영국영양사협회는 완전 채식주의가 다른 식단에 비해 건강하며 모든 연령대에 적합하다고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어린이를 완전 채식주의로 기르는 것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에 따라, 독립 기고가 올리비아 페터는 관련 분야 전문가들에게 채소 위주 식단이 어린이에게 미치는 위험성과 장점에 관한 분석을 요청했다.
![]() |
주디 무어 영양사는 "아이를 완전 채식주자로 기르면, 영양소 결핍과 에너지 섭취 부족, 늦은 성장 발육 등이 커다란 문제"라고 말했다.
아나 크리스티나 스카프락 소아 전문 영양사는 무어의 주장을 지지하며, "영양소 결핍은 모든 완전 채식주의자들의 공통적인 문제"라며 "특히, 철분과 B12, 요오드가 결핍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식단을 통해 지방과 단백질 등이 적절하게 제공되지 않는다면, 성장이 저해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동기는 성장에서 중요한 단계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높은 영양과 에너지 필수 요건을 충족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완전 채식주의의 대체물만으로는 기준을 달성할 수 없다. 그 예로, 완전 채식주의자 부모에게서 태어난 이탈리아의 영아가 영양실조와 저칼슘증으로 병원에 입원한 사례가 있다.
또, 14개월 된 아이가 3개월 된 영아의 평균 체중에도 미치지 못해 병원에 입원한 사례도 있었다. 영양실조로 인해 영아의 선천성 심장병이 악화됐으며, 다행히 긴급 수술로 생명은 건질 수 있었다. 이 아이의 부모가 보충제 없이 채소 위주 식단으로 아이를 기르고 있었다는 사실은 뒤늦게 밝혀졌다. 결국, 관계 당국이 아이를 부모로부터 격리하는 처분을 내렸다.
무어와 스카프락은 아이들에게 완전 채식주의 식단을 제공하는 것은 어떠한 건강상 이점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바히 반 드 보어 영양사는 반대 주장을 펼쳤다.
보어는 "지나치게 제한적이지만 않다면 자녀를 완전 채식주의 식단으로 기르는 것이 가능하다"며 "완전 채식주의 식단은 치아씨와 아마씨, 호두 등 식품으로 칼슘과 지방산 같은 다른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채소 위주 식단의 낮은 포화지방은 그 자체로 유익하다"며 "포화지방과 여러 만성질환이 유관하다는 여러 연구가 발표되고 있으며, 심장 질환과 당뇨병, 암 등의 발병 위험성도 어렸을 때부터 완전 채식주의 식단으로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여러 위험성이 확인됐지만, 완전 채식주의 식단을 고수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위험하지 않다. 그러나 여기에는 주의사항이 있다. 자녀를 완전 채식주의자로 기른다면, 올바른 방식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가능한 한 결핍되는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대체 영양소를 찾아야 한다.
영양소 보충 외에도 자녀의 완전 채식주의 식단은 영양학적으로 완벽해야 한다. 자녀의 칼로리 요건 충족을 보장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양의 단백질과 탄수화물, 지방 등으로 식단을 구성해야 한다. 식사 중간에 간식을 추가한다거나 비타민C가 풍부한 식품을 식단에 포함해 열량 섭취를 충족하고 채소 위주 식품에서 철분 흡수를 개선해야 한다.
![]() |
▲딸에게 요리법을 가르치는 부모 (출처=123RF) |
상기 모든 사실을 고려했을 때, 자녀를 완전 채식주의자로 기르는 것은 문제가 없다. 그러나 자녀가 이런 생활방식을 선택하게 만드는 것은 자녀의 영양학적 필수 요건과 식습관 패턴에 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지나치게 제한적인 식단은 자제하고 아이의 건강과 행복에 중점을 둬야 할 것이다.
[팸타임스=심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