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새로운 집단 운동 방식 크로스핏, 경쟁을 통한 전신 운동 가능해

위아람 2018-07-13 00:00:00

새로운 집단 운동 방식 크로스핏, 경쟁을 통한 전신 운동 가능해
▲크로스핏은 경쟁 스포츠 색채가 짙다(출처=게티이미지)

크로스핏은 미국의 그래스 글래스먼이 만든 운동방법론과 피트니스 클럽 브랜드다. 그레그 글래스먼은 크로스핏 헌장을 통해 크로스핏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렸다. "크로스핏은 어느 한 분야에 특화된 피트니스 프로그램이 아니다. 10가지 영역의 육체능력을 골고루 극대화하려는 시도다. 이 열 가지 심폐지구력, 최대근력, 유연성, 협응력, 민첩성, 균형감각, 정확성, 파워, 스태미너, 속도가 들어간다."

새로운 집단 운동 방식 크로스핏, 경쟁을 통한 전신 운동 가능해
▲크로스핏은 다양한 장비를 사용한다(출처=게티이미지)

크로스핏의 특징

크로스핏의 핵심은 크로스 오버다. 파워 리프팅의 최대근력, 역도의 파워, 육상의 스피드, 기계체조의 협응력까지 다른 영역을 한 데 모아 다양한 장비를 사용한다. 아령과 역기 외에도 크로스핏 체육관에는 대중에게 생소한 운동장비들이 즐비하다. 케틀밸, 메디신볼, 우드링, 샌드백, 타이어, 밧줄을 사용한다.

새로운 집단 운동 방식 크로스핏, 경쟁을 통한 전신 운동 가능해
▲크로스핏은 일반적인 피트니스와 차이가 있다(출처=게티이미지)

크로스핏의 장점

크로스핏은 운동 방식에서도 일반적인 피트니스와 차이가 있다. 특정 근육을 집중적으로 발달시키는 게 아니라 다양한 근육을 골고루 발달시켜 신체 능력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스쿼트나 데드리프트 등에서 힙 드라이브가 보디빌딩식 고립 운동에서보다 강조되는 측면이 있다. 크로스핏은 기록경쟁을 통한 스포츠적 색채가 짙다. 크로스핏의 스포츠적 요소는 단체수업 방식과 맞물려 상승효과를 낸다.

새로운 집단 운동 방식 크로스핏, 경쟁을 통한 전신 운동 가능해
▲크로스핏은 단체 수업 방식이다(출처=게티이미지)

크로스핏의 단체수업 방식

크로스핏은 1시간 단위로 수업시간이 정해져 있다. 시간에 맞춰온 수강생들은 코치의 지도 아래 그날의 기록을 측정한다. 런닝머신 위에서 하는 개인 운동이나 트레이너와 1:1로 진행되는 PT와는 전혀 다른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동료애라고 할만한 끈끈한 커뮤니티가 형성되는 것 역시 눈여겨 볼만한 점이다.

크로스핏의 단점

크로스핏의 경쟁심리는 양날의 검이다. 기록경쟁은 재미와 동기부여라는 좋은 측면만 있지 않다. 경쟁심리를 부추겨 훈련받는 사람이 오버트레이닝을 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 따라서 개개인의 수준에 맞춰 강도를 조정하는 게 트레이너의 역량이다. 실제로 미국에선 크로스핏을 하다 다친 회원이 무자격 트레이너를 고소한 경우도 있었다.

[팸타임스=위아람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