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갑작스런 왼쪽 가슴 통증' 심근경색 초기증상, '심근경색에 좋은 음식' 알아둬야

소윤서 2018-07-10 00:00:00

'갑작스런 왼쪽 가슴 통증' 심근경색 초기증상, '심근경색에 좋은 음식' 알아둬야
▲예고 없이 찾아오는 심장 마비(출처=게티이미지뱅크)

갑자기 심장 마비가 발생한다면 어떻게 될까? 심장 마비는 아무런 경고없이 그대로 인생을 마감시키는 심각한 질환이다. 심근경색이라고도 하는데, 심장혈관이 혈전, 연축 등의 원인으로 갑자기 막혀 심장 근육이 손상된다. 심근경색의 증사에 대해 알아보자.

심근경색이란?

심장 근육이 영구적으로 손상되면 심장 마비 혹은 심근경색이 오게된다. 삼장은 3개의 관상동맥(심장혈관)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데,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 수축으로 인해 막혀버리면, 심장 전체 혹은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콜레스테롤과 지방질 침전물, 혹은 플라크의 축적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심장으로의 혈류를 제한시키는 요소가 된다.

심근경색 원인

심혈관 시스템의 동맥이 막히면 플라크가 형성된다. 혈류 역시 감소하면서 점차적으로 멈추게 되는데, 이게 바로 심장 마비의 원인이 된다. 막힌 동맥을 유발하는 몇 가지 요인 가운데는 나쁜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이 있다. 나쁜 콜레스테롤의 경우 동맥을 막히는 주요 원인이 되는데, 나쁜 콜레스테롤이란 음식에서 종종 발견되는 무색 물질이다. 물론 모든 콜레스테롤이 나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저밀도 지단백질이나 LDL이 심장 벽에 붙으면 혈소판은 혈전이나 패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포화지방은 쇠고기와 버터, 치즈 같은 유제품에서 주로 발견되는 것으로, 체내 나쁜 콜레스테롤의 양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갑작스런 왼쪽 가슴 통증' 심근경색 초기증상, '심근경색에 좋은 음식' 알아둬야
▲심근경색 이미지도(출처=게티이미지뱅크)

협심증

심장 발작은 대게 협심증으로 시작된다. 주로 가슴에서 통증이 느껴지는 것인데, 허혈에 의해 유발된다. 협심증을 앓는 동안에도 혈류가 회복되고 몇 분안에 통증이 감소될 수 있어 심장이 영구적으로 손상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심장이 갑자기 줄어들면 통증이 오래 지속돼, 장기 주위의 심장 근육은 점차적으로 그 기능을 멈추게 된다. 게다가 심장 마비의 약 25%가량은 예고된 경고 없이 갑자기 온다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다. 이런 '무증상 허혈'은 보통 통증이 없기 때문에 조용하고 갑작스런 심장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

심근경색 진단

동맥이 막힌 것으로 진단받았다면, 아마도 가슴 통증을 경험했을 것이다. 그러나 모든 가슴 통증이 심근경색으로 인한 것은 아니다. 속쓰림으로 인한 가병누 통증이나 담낭 문제, 가슴벽의 근육 상태로 인한 통증도 있기 때문. 따라서 통증의 근본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를 먼저 받는 것이 좋다. 대표적으로 심전도와 혈액 검사로, 심전도는 정상적인 혈류 패턴의 변화를 기록하는 것이며, 혈액 검사는 통증의 근원이 심근경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갑작스런 왼쪽 가슴 통증' 심근경색 초기증상, '심근경색에 좋은 음식' 알아둬야
▲막힌 동맥의 모습(출처=게티이미지뱅크)

심근경색에 좋은 음식

심장 마비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대로된 식사가 중요하다. 가령, 잘 알려진 '대시(DASH)' 식단은 포와지방과 콜레스테롤, 나트륨을 제한하는 것으로 심장에 좋은 건강 식사로 짜여진다. 미국에서 연구된 바에 따르면, 이 대시 식단은 심장 마비 사례를 약 18%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시 식단이 엄격하고 까다롭게 요구하는 사항은 1온스(약 28g) 상당의 곡물 8가지, 1컵 가량의 채소 4~5가지, 1컵 가량의 과일 4~5가지, 8온스 상당의 무지방 혹은 저지방 우유 제품 2~8가지, 1온스 상당의 살코기나 가금류, 생선 등 6가지 등으로, 총 2000칼로리로 구성해야 한다.

심근경색 치료법

치료는 병의 심각성으로 인해 주로 응급실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가운데 혈관 성형술은 막힌 동맥에 활용되는데, 심장 주변의 혈액 공급을 유지시키는 수술이다. 카테터라는 길고 가는 관을 혈관안에 넣어 조영제를 주사한 뒤 혈관의 좁아진 부위를 찾아 이를 넓히는 것이 주요 수술 과제다. 좁아진 부위에는 가느다란 풍선이 내장된 관을 삽입한다.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풍선 카테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스텐트라고 하는 금속관을 사용해 시술한다.

[팸타임스=소윤서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