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게티이미지) |
살인전과가 있는 조현병 환자가 병원 탈출했다가 18시간 만에 경찰에 붙잡혔다. 조현병으로 20년 동안 병원생활을 해온 김씨는 8일 오후 치료감호를 받고 있던 광주의 한 병원 폐쇄 병동에서 탈출했다. 경찰은 특정 범죄자에 대한 보호관찰 및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 등을 적용해 김씨를 처벌할 방침이다. 갑작스럽게 사람들을 놀라게 한 검색어, 조현병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 |
▲조현병에만 나타나는 특이 증상은 없다(출처=게티이미지) |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다. 예후가 좋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환자나 가족들에게 상당한 고통을 주지만 최근 약물 요법을 포함한 치료적 접근에 뚜렷한 진보가 있다.
![]() |
▲조현병은 다양한 원인을 가진 질환군이다(출처=게티이미지) |
조현병은 단일 질환으로 설명되지만 실제로는 유사한 증상을 보이나 다양한 원인을 가진 질환군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조현병 환자들은 다양한 임상 양상, 치료 반응, 병의 경과를 보인다.
![]() |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등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이다(출처=게티이미지) |
조현병에만 나타나는 특이 증상은 없다. 따라서 정신상태 검사만으로 조현병으로 확진하면 안되며 다양한 내과적 질환과 타 정신과 질환에 대한 감별이 이뤄져야 한다. 조현병의 대표적인 증상은 망상과 환각이다. 망상의 내용은 피해망상, 과대망상부터 신체적 망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 |
▲조현병은 항정신병 약물로 치료한다(출처=게티이미지) |
미국정신의학회가 2013년 개정한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 제5판에 따른 진단기준을 다음과 같다. 다음의 증상 중 2가지 이상 존재하며 이들 중 최소한 1개의 증상은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에 해당돼야 한다. 상기 증상은 1개월 중 상당 기간 동안 존재해야 한다. 발병 이후 상당기간 동안 직업이나 대인관계 또는 자기관리와 같은 주요 영역의 한 가지 이상에서 기능 수준이 발병 이전과 비교해 현저히 저하된다.
항정신병 약물을 중심으로 한 약물 치료가 치료의 중심이지만 정신 치료를 포함한 정신사회적 치료 접근이 통합될 때 더 나은 치료 성과를 가져온다고 보고되고 있다. 입원 치료는 진단적 목적, 약물 관련 이슈, 타인이나 본인에게 위험한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존재할 때 등에 고려한다.
[팸타임스=위아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