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붓고 아픈 내성 발톱, 어떻게 치료할까?

김성은 2018-07-06 00:00:00

붓고 아픈 내성 발톱, 어떻게 치료할까?
▲일광욕을 즐기는 여성의 발(출처=게티이미지)

발톱이 감염되거나 부러진 상태로 걷는 것은 매우 고통스럽고 불편하다. 특히 감염된 발톱이 노출되면 악화될 수 있는 게 문제. 압박감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 즉시 의학적 도움을 받아야 한다. 곰팡이 또는 박테리아가 발톱으로 들어가면 내성 발톱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 내성 발톱에의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자.

내향성 발톱의 증상

발톱 감염이 심해지면 고름이 나기 시작한다. 지나치게 꼭 맞는 신발이나 양말을 착용하거나, 위생 상태가 좋지 않고, 발톱 광택제를 바르거나, 당뇨병이나 HIV 및 순환기 문제가 있는 경우 발생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발톱 크기가 클수록, 균열이 있는 경우 곰팡이에 감염되기 쉽다.

붓고 아픈 내성 발톱, 어떻게 치료할까?
▲곰팡이 감염된 발톱(출처=게티이미지)

내향성 발톱이 생기는 이유

내성 발톱의 가능한 원인 중 하나는 곰팡이 감염 또는 손발톱진균증이다. 균류는 피부의 바깥층을 구성하는 각질을 먹이 삼아 증식해 무좀이 될 수 있다. 진균의 전염은 여러 발톱 감염을 유발한다. 진균은 또한 쉽게 부러져서 침입하기 쉬운 손톱을 공격한다. 진균 감염은 면역력이 약하거나 당뇨병 및 말초 혈액 순환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주로 나타난다. 곰팡이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 거주하는 것을 절대적으로 좋아한다. 작은 신발을 착용하거나 공중 샤워실과 욕실에서 옮기도 한다.

붓고 아픈 내성 발톱, 어떻게 치료할까?
▲내성발톱의 원인, 발톱 균류(출처=게티이미지)

내성발톱의 치료 방법

내성발톱을 치료하는 데는 여러 방법이 있다. 손톱깎이로 다듬고 비포나졸을 포함한 연고를 바른다. 감염이 국소적이라면 항진균 크림 또는 약용 매니큐어를 바를 수도 있다. 감염 부위가 넓어지면 '이트라코나졸'과 '테르비나핀'과 같은 경구용 항진균제를 복용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발톱 전체를 수술로 제거해야 할 수도 있다.

붓고 아픈 내성 발톱, 어떻게 치료할까?
▲항진균 크림(출처=플리커)

내성발톱 완치를 위한 수술

수술에 앞서 몇 가지 국소 항진균제를 복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르비나핀'은 손발톱진균증 치료의 첫 번째 방법으로 사용된다. 약 6~12주간 복용하는데, 눈에 띄는 효과가 없다면 감염 부위를 잘라내는 수술을 시행한다. 이 조치는 국소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매우 두꺼운 발톱에도 적용된다. 국소 마치 후 문제 부위를 제거한다.

붓고 아픈 내성 발톱, 어떻게 치료할까?
▲내성발톱의 치료(출처=게티이미지)

내성발톱에 효과적인 약물

국소 치료법은 경구용 약물보다 효과가 적음이 입증되었지만, 감염 초기엔 효과가 좋다. '아모롤핀 네일 래커', '시클로피록스' 및 '티오코나졸 네일 솔루션'이 해당된다. 도구를 사용해 감염된 발톱 부위를 깨끗하게 손질하고 위의 약물을 적용한다.

경구용 항진균제를 사용하면 진균 제거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기간은 4~12개월간 복용한다. 국소 치료법으로 발톱을 치료할 가능성은 15~30% 정도다.

경구용 약물은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한다. 약물 복용은 발톱의 감염 여부를 검사한 후 결정한다. 많은 경우 진균 치료에 효과적으로 알려진 '그리세오풀빈'을 복용한다. 효과를 보려면 6~9개월가량 복용해야 한다.

'테르비나핀'과 '이트라코나졸'은 효과가 매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감염 초기에 6주간 사용한다. 이트라코나졸은 효모 감염 치료에 사용되며 효과를 보려면 21일이 걸린다. 그에 비해 플루코나졸은 덜 효과적이지만 다른 약물을 복용할 수 없는 환자를 위한 대안으로 활용된다.

붓고 아픈 내성 발톱, 어떻게 치료할까?
▲플루코나졸 환약(출처=셔터스톡)

내성발톱 예방법

무엇보다 예방이 핵심이다. 신발을 착용하기 전 손과 발을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손톱과 발톱을 자주 자른다. 공용 화장실이나 샤워할 때 꼭 슬리퍼를 신어 박테리아에 닿는 것을 막는다.

붓고 아픈 내성 발톱, 어떻게 치료할까?
▲페디큐어로 발톱 손질하기(출처=게티이미지)

[팸타임스=김성은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