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퇴행성 변화로 인해 시작되는 척추관 협착증, 치료 방법과 운동법

김영지 2018-07-05 00:00:00

퇴행성 변화로 인해 시작되는 척추관 협착증, 치료 방법과 운동법
▲퇴행상 변화로 시작되는 척추관 협착증(출처=게티이미지뱅크)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아져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 척추협착

척추관 협착증이란, 척추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척추관과 신경근관 혹은 추간공이 좁아져 허리에서 굉장한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신경 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여기서 척추관이란 척추 가운데 관 모양의 빈 통로를 말하며, 이 관은 뇌가 몸의 기관에 전달하는 신호전달 통로인 신경이 위치하고 있다. 척추관의 모양은 타원형 혹은 삼각형이며, 척추관 협착증은 주로 요추부에서 많이 발생하여 요추 척추관 협착증 혹은 요추관 협착증이라고 불린다.

퇴행성 변화로 인해 시작되는 척추관 협착증, 치료 방법과 운동법
▲허리에 통증이 계속되면 의심해야 하는 척추 협착(출처=게티이미지뱅크)

다양한 증상이 보이게 되는 척추관 협착증 증세

척추관협착증의 증세로는 허리의 통증이 계속해서 나타나는 증상이 있으며, 항문을 바늘로 찌르는 느낌이나 타는 통증을 느끼며, 다리의 감각 장애와 근력저하 등이 있다. 또한 이런 증세가 심해지게 되면 허리가 굽거나, 걷는 속도가 줄어들고, 걷다가 계속 쉬고 싶어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외에도 신경조직의 손상 때문에 목, 어깨, 양팔의 통증과 감각 이상, 척수병증 등이 같이 발생할 수 있다.

퇴행성 변화로 인해 시작되는 척추관 협착증, 치료 방법과 운동법
▲30대가 넘어가면 발생할 수 있는 척추관 협착증 치료법은?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질환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척추관 협착증 치료방법

무서운 질병이면서 동시에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척추협착은, 척추관 협착증 운동으로 어느 정도의 예방과 개선이 가능하지만, 어느 정도 이상으로 개선시킬 수는 없다. 척추관 협착증 운동으로는 대체적으로 누워서 양 발을 좌우로 움직이는 운동 등이 있다. 하지만, 척추관 협착증이 꽤나 진행된 경우에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척추관 협착증은 MRI를 사용하여 검사가 가능하며, 척추관 협착증 치료 방법으로는 운동제한, 약물 치료, 열치료, 초단파 치료, 마사지, 견인 치료 등의 물리치료와 운동 요법이 있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거나 근력의 저하, 척추 손상의 증상 등이 생겨나는 경우에는 감압적 수술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팸타임스=김영지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