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거부터 쭉 진행해온 치료 방법인 임플란트는 날이 갈수록 그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 외상, 습관 등으로 치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받아 젊은 연령에서도 임플란트 식립을 필요로 하고 있어 수요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임플란트는 치아를 잃어버린 뒤에도 자연치가 있던 자리를 인공치아로 대체하는 것이다. 이가 빠진 자리에 인공치근을 먼저 식립한 다음 보철을 얹어 마무리한다. 인공치근을 식립하는 게 중요한 과정이며, 식립 부위별로 특징을 잘 고려해야 한다.
특히 상악 어금니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할 때는 빈 공간인 상악동이 있어 그냥 식립하기 어렵다. 때문에 상악동거상술, 뼈이식 등의 여러 방법을 동원하여 인공치근을 안정적으로 식립해야 하며, 어금니 임플란트는 저작기능을 담당해 내구성을 확인해야 한다.
앞니 임플란트도 내구성이 중요하지만 심미성 역시 중요하다. 다만 요즘에는 내구성과 심미성을 모두 갖추고, 안정적으로 식립해 사용할 수 있는 임플란트 종류가 많기 때문에 큰 부담 없이 식립할 수 있다.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는 3D CT를 이용해 정밀 검사를 해야 하며, 가급적이면 절개 없이 시술하여 통증, 출혈, 붓기 등의 문제를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주변 치아와의 관계를 고려해 정확한 진단을 먼저 해야 하며, 식립 위치와 깊이 등을 미리 분석한 다음 식립해야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사당동치과 이수스마트치과 김태수 원장은 "자연치아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게 확실한 상황일 때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한다. 치아를 보존할 수 있었음에도 발치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먼저 치주치료, 신경치료 등으로 치아를 회복해야 한다. 또한 이가 빠진 상태라 해도 치아교정으로 인접치아를 빈 공간으로 밀어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자연치를 살리는 치료부터 고려해보고, 불가능할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한편 임플란트는 당뇨, 고혈압 등의 전신질환이 있을 경우 식립이 어려울 수 있으며, 개수가 너무 많을 때는 임플란트틀니 같은 치료로 대체하는 편이 좋다.
[팸타임스=박태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