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이 우리 몸에 유익하다는 이야기는 두 번 말하기 입 아프다. 특히 어느 광고에서처럼 '살아서 장까지 가는 것'이 중요한데 이때 도움을 주는 미생물이 '프리바이오틱스'다.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과 프리바이오틱스 미생물의 차이 및 효능에 대해 알아보자.
![]() |
▲프리바이오틱스는 유산균의 먹이 역할을 한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
'프로바이오틱스'란 우리 몸에 좋은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유산균을 말한다. 이 균들이 살아서 장까지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먹이'가 필요한데 이때 필요한 미생물이 '프리바이오틱스'이다.
유산균도 먹이가 없으면 생존이 불가능하다. 프리바이오틱스는 체내에 흡수되지 않는 당류이기 때문에 소장에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장까지 이동, 유산균의 먹이가 되고 유해균까지 감소시켜 준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유산균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함께 섭취해야 장에 더욱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다고 강조한다.
![]() |
▲프리바이오틱스는 체중감량과 비만예방에 도움을 준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유산균은 특히 배변활동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에게 큰 도움을 준다. 입으로 들어간 음식물들은 영양소와 수분이 흡수된 뒤 장에 노폐물 형태로 걸러진다. 이는 곧 대변이 되어 몸 밖으로 배출된다.
하지만 노폐물이 쌓이는 곳인 만큼 '독소' 또한 상당량 쌓인다. 배출되지 못한 대변은 이상발효균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는 곧 만성 변비, 뱃살의 원인이 되곤 한다.
또한 신진대사를 방해해 체내에 지방을 축적시키고 식욕을 촉진하기도 한다. 이때 유산균과 프리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유익균을 증가시켜 체중감량과 비만예방에 도움을 준다.
![]() |
▲프리바이오틱스는 아스파라거스, 우엉, 콩, 치커리 등에 함유되어 있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
프리바이오틱스는 영양제를 통해 섭취할 수도 있지만 우리 주변에 있는 채소, 과일 등을 통해 보충할 수도 있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야채와 과일, 올리고당, 아스파라거스, 우엉, 콩, 치커리 등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요거트나 김치 등 발효 식품 등을 통해 섭취할 수 있다.
[팸타임스=이다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