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토콘드리아의 부분(출처=셔터스톡) |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소기관의 하나로 세포호흡에 관여한다. 따라서 호흡이 활발한 세포일수록 많은 미토콘드리아를 함유하고 있으며 에너지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불린다.
![]() |
▲미토콘드리아의 3D 이미지(출처=셔터스톡) |
세포는 생물체의 기본 구성요소다. 우리의 몸은 수조개의 세포로 구성돼 있다. 몸에 구조물을 제공하고 음식에서 영양분을 섭취하며 수집된 영양소를 에너지로 전환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음식물의 에너지를 세포가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90%의 화학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세포가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미토콘드리아에 이상이 있을 경우 심각한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
![]() |
▲미토콘드리아의 내부 구조(출처=셔터스톡) |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체내의 영양소로부터 에너지를 전환시키는 것 이상의 일을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신체가 다른 목적을 위해 필요로 하는 화학 물질을 생산하고 폐기물을 분해하며 에너지를 절약하거나 몸에 해로운 것을 줄인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죽음인 세포 분열에서 역할을 한다. 이는 세포의 통제된 발전과 성장을 위해 중요하다. 세포는 종양의 성장을 야기하지 않기 위해 죽어야만 한다.
![]() |
▲미토콘드리아의 구조 이미지(출처=셔터스톡) |
미토콘드리아는 외막과 내막의 이중막을 갖고 있고 그 사이가 막간 공간이며 내막 안쪽이 미토콘드리아 기질이다. 외막에는 포린이라는 단백질이 있어 물질이 드나드는 통로를 형성한다. 내막은 외막과 달리 회선 구조를 하고 있고 미토콘드리아 기질 내로 튀어나온 형태를 하고 있어서 돌출 구조를 이룬다.
![]() |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를 생산한다(출처=셔터스톡) |
유전자 검사에 있어 일반적인 DNA 검사가 힘들 경우 미토콘드리아 DNA를 검사하게 된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죽은 세포나 아주 미량의 시료에서도 추출이 가능하여 일반 DNA 검사가 불가능한 부분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부모에게서 반반씩 물려받는 핵 DNA와 달리 미토콘드리아 DNA는 어머니에게서만 물려받는다.
![]() |
▲DNA 이미지(출처=셔터스톡) |
미토콘드리아 질환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가 더 이상 충분한 에너지를 생산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때로 미토콘드리아는 효율적이지 않거나 전혀 기능하지 않는다. 이 질병의 증상은 세포들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또는 신체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다양하다.
현재 미토콘드리아 질병 치료법은 없다. 알려진 치료법은 발작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의사들은 비타민을 사용해 체내 에너지 생산을 효율적으로 만든다. 리보플라빈, 티아민, 코엔자임 Q10이 그것이다.
[팸타임스=위아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