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졸중 증상을 느끼는 남성(출처=123RF) |
혈전이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말하며 혈전증이란 혈전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가리킨다. 혈전색전증이라고도 하는데 특히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힌 질환을 일컫는다.
![]() |
▲장애를 가진 남성과 보호자(출처=123RF) |
혈전증의 발병 원인으로는 혈류의 느림, 응고 과다, 혈관 손상의 세가지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 세가지 원인이 단독으로 혹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혈전증이 발생한다.
![]() |
▲열 때문에 어지러움을 느끼는 노인(출처=123RF) |
혈전증의 증상은 다양하다. 뇌의 어떤 부분이 영향을 받는지에 따라 증상이 달라진다.
▲말할 수 없거나 말을 더듬음 ▲혼란 또는 현기증 ▲두통 ▲몸 한쪽이 마비되거나 약해짐 ▲갑작스러운 시력상실 등 시력 장애 ▲보행 곤란 ▲손과 팔의 조정 문제
![]() |
▲혈압을 재는 의사(출처=123RF) |
혈전증 진단에는 영상 검사가 필요하다. 의사는 뇌의 이미지를 검사한다. MRI나 CT 스캔과 같은 영상 시험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CT 스캔을 먼저 수행한다. 뇌 주변이나 뇌에 출혈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면 혈전으로 인한 동맥 막힘을 의심한다. 의사는 환자의 혈압, 맥박을 검사하고 신경 검사를 제안할 것이다.
![]() |
▲MRI 스캔을 받는 남성(출처=123RF) |
혈전증 치료는 뇌로 가는 혈액의 흐름을 개선하고 혈전을 용해시키는 약을 처방한다. 증상이 발견되거나 감지된 후 3시간 이내에 약을 투여하면 결과가 훨씬 좋아진다.
약물 외에도 통제되지 않는 혈당이나 고혈압과 같은 혈전증의 근본 원인을 치료하는 것도 중요하다. 혈전을 수술을 제거하는 경우도 있다.
![]() |
▲환자와 대화를 하는 의사(출처=123RF) |
혈전증 위험을 줄이는 식품에는 오렌지, 크랜베리, 블루베리, 자두, 건포도, 포도, 딸기 같은 과일이 있다. 혈전을 줄이고 뇌졸중을 예방하는 물질은 오메가3 지방산이다. 오메가 3가 많이 들어있는 식품에는 생선기름, 해바라기, 옥수수 기름, 카놀라 오일이 있다.
비타민E는 식물성기름, 헤즐럿, 아몬드, 호두에 많이 들어있는데 혈액 희석제로도 알려져 있다.
![]() |
▲헤즐럿(출처=123RF) |
비타민 K가 풍부한 식품은 혈액 응고를 촉진하기 때문에 식단에 포함돼서는 안된다. 비타민K가 많은 음식으로는 시금치, 바나나, 복숭아, 상추, 아스파라거스, 케일 등이 있다.
[팸타임스=위아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