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이의 수염 (출처=퍼블릭 도메인 픽처스) |
고양이 수염은 언제든 잘라도 되는 사람 수염과는 다르다. 미적인 요소 이상의 기능을 하기 때문. 반려묘의 수염이 하는 역할을 살펴보자.
| ▲고양이의 수염 (출처=픽사베이) |
두꺼운 털로 된 고양이 수염은 학명으로 동물 입가에 있는 '강모(vibrissae)'라고 부른다. 이 수염은 매우 민감한 부위로 고양이는 이를 통해 방향을 감지한다. 장식 및 단열 목적으로도 사용하며 자신을 보호하는 데 활용하기도 한다.
수염이 물체에 닿으면, 수염 끝 진동이 모낭과 신경계까지 전달돼 고양이는 주변 환경과 물체의 크기와 위치, 질감까지도 감지할 수 있다.
닐 마리난 수의학 박사에 따르면, 고양이 수염에는 놀라울 정도의 감지 능력이 있다. 수염은 얼굴의 안테나처럼 기능해 고양이의 두뇌와 신경계에 감각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있는 방향과 환경 같이 중요한 정보를 알려준다. 더 구체적으로 보면, 고양이는 수염을 사용해 먹이를 사냥하고 어두운 곳에서 돌아다닐 수 있으며, 바람의 변화를 감지하고 무생물인지 혹은 살아있는 동물인지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커다란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먹이를 찾아내는 데도 도움이 된다.
이처럼 수염은 매우 민감하고 인지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수염 피로증(Whisker Fatigue)'라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현재까지 이 증상은 100% 다뤄지고 있지는 않지만, 여러 연구자와 주인들은 명백한 증상으로써 받아들이고 있다.
수염 피로증은 고양이가 수염으로부터 받아들이는 불필요한 자극을 걸러낼 수 없는 증상이다. 어느 날 고양이 수염에 지나치게 많은 것들이 닿게 되면, 감각이 과부하 된다. 고양이가 하루에 여러 번 할 수 있는 활동 중 하나는 밥그릇에 놓인 먹이를 먹거나 물을 마시는 것인데, 과부하 상태에서 이런 활동을 스트레스 받는 활동으로 잘못 인지해 하루 일과를 방해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 그 결과 먹거나 마시는 활동을 중단해 건강을 해친다.
반려묘 주인들은 고양이가 좋아하는 먹이를 먹지 않을 때 보통 수염 피로증을 의심할 수 있다. 실제로 고양이가 완벽한 건강 상태에 있어도 수염 피로증에 걸리기도 한다.
고양이의 수염 피로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큰 밥그릇을 준비하는 것이다. 고양이가 먹이를 먹을 때마다 수염이 그릇에 닿으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뉴욕타임스는 수염 피로증을 앓고 있는 고양이를 위해 둥근 밥그릇을 권장하고 있다.
수염 피로증은 고양이가 앓을 수 있는 실제 문제기 때문에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올바르게 즉시 치료하지 않는 경우, 기아 상태에 이르게 되고 결국 관련 질병에 걸릴 수 있다.
| ▲고양이 옆에서 낮잠자고 있는 남성 (출처=위키미디어 커먼스) |
수염 피로증은 치료가 가능하다. 다른 질병과 달리 수염 피로증은 특별한 치료법이 따로 있지는 않다. 그저 단순한 행동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시중에는 수염 피로증을 해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밥그릇과 급식기가 출시돼 있다. 고양이가 일반 그릇에서 밥을 먹을 때마다 느낄 수 있는 스트레스 감각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넓으면서도 얕거나 평평한 급식기가 수염 피로증 해결을 위한 최적의 방법이다. 이런 단순한 변화로 수염 피로증을 잠재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재발할 가능성도 낮춰준다.
고양이는 선천적으로 매우 인지적인 동물이며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평소와는 다르게 낯설게 행동할 때면 일상적인 환경에 변화를 감지했다거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런 변화가 바로잡혀지지 않거나 스트레스 요인이 사라지지 않으면, 고양이는 결국 수염 피로증에 걸릴 수 있다.
고양이의 수염은 그저 귀엽거나 장식적인 요소가 아니다. 실제로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매우 민감한 수염을 제대로 보호해 불필요한 스트레스 요인을 없애줘야 한다.
[팸타임스=심현영 기자]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