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을 차고 있는 축구 선수(출처=게티이미지) |
무좀약은 발 피부의 진균 감염증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감염 부위가 제한된 경우에는 외용 항진균제를 사용하지만 감염 부위가 광범위한 경우에는 경구용 항진균제를 복용해야 한다. 항진균제를 복용할 때는 이미 복용하고 있는 약들과 약물상호작용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 |
▲무좀이 있는 발(출처=게티이미지) |
무좀은 진균이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이나 손발톱, 머리카락에 감염돼 발생하는 질환이다. 원인균에 따라 백선, 칸디다증, 어루러기고 나눌 수 있다. 이 중 백선증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에 감염되는 표재성 감염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병변 부위에 따라 머리 백선, 몸 백선, 샅 백선, 발 백선, 손발톱 백선, 얼굴 백선, 손 백선 등으로 분류한다.
![]() |
▲백선 균이 무좀을 일으킨다(출처=게티이미지) |
여러 종류의 피부 사상균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가장 흔한 원인균은 적색 백선균이다. 무좀 환자와 직접적인 피부 접촉을 통하거나 수영장, 공중목욕탕의 발 수건, 신발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 |
▲무좀에 걸렸을 때 경구 약을 먹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출처=게티이미지) |
무좀이 생기면 항 진균제 연고를 발라 치료해야 한다. 항진균제 연고를 발라도 좋아지지 않으면 먹는 항진균제를 복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급성 염증이 있거나 이차 세균 감염이 발생한 경우 의사와의 상담 후 먹는 항생제를 복용해야 한다.
![]() |
▲티 트리 에센셜 오일(출처=123RF) |
일반적으로 무좀 치료는 발에만 있을 때는 항진균제를 쓴다. 발톱까지 감염됐을 때는 먹는 항진균제를 먹어야 해결이 된다. 최근에는 간이 안 좋아서 항진균제를 내복하지 못하는 환자들은 레이저 치료로 발톱이나 손톱 무좀을 치료하기도 한다.
![]() |
▲식초를 쓰면 무좀을 퇴치할 수 있다(출처=픽사베이) |
무좀균은 습하고 더운 환경을 좋아하기 때문에 반대되는 환경을 만들면 된다. 땀이 많은 사람은 자주 샤워하고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물에 젖은 슬리퍼를 오래 신지 말고 발가락 사이는 샤워 후에 완전히 말려준다. 신발은 조이는 신발보다는 발가락이 나오는 샌들이나 통풍이 잘 되는 재질의 신발이 좋다.
[팸타임스=위아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