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릎 근육(출처=게티이미지) |
인대는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하는 강한 섬유성 결합 조직이다. 대부분 제1형 교원질 섬유로 이뤄진 세포 기질과 소수의 섬유 모세포로 이뤄져 있다.
![]() |
▲무릎 통증으로 고통 받는 남성(출처=게티이미지) |
인대 손상으로 고통 받을 수 있는 부위 중 가장 흔한 곳은 무릎이다. 무릎은 허벅지를 무릎과 연결하고 신체의 아래쪽 운동을 촉진한다. 무릎은 염증, 탈구 및 무릎 인대 파열로 인해 부상을 입기 쉽다.
![]() |
▲전방 십자 인대 파열(출처=게티이미지) |
발목 염좌는 흔한 손상 중 하나로 발목이 심하게 꼬이거나 접질렸을 때 발목관절을 지탱하는 인대들이 손상을 입어 발생한다. 발목 염좌의 약 90%는 발바닥이 안쪽으로 뒤틀리게 되는 손상 시 발목의 바깥쪽 부분에 일어난다.
![]() |
▲무릎 통증(출처=게티이미지) |
야구, 농구 등과 같이 야외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손가락 인대 손상을 많이 겪는다. 보통 넘어지거나 막을 때 반사적으로 손을 뻗는다. 이때 체중의 10배 정도 압력이 손에 걸리면서 손가락 인대 손상이 일어난다. 손가락 인대 손상은 자연적 치유가 가능하다고 생각해 가볍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손가락 인대 손상시 초기에 진단을 받아 치료를 받는 게 좋다.
![]() |
▲발목 인대 손상(출처=위키피디아) |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은 대개 비틀림이나 젖힘 손상으로 갑작스런 통증과 함께 주저앉거나 툭하고 인대가 끊어지는 소리가 나기도 한다. 스포츠 경기 중에 손상되는 경우에는 통증 또는 불안정으로 경기를 지속하기 힘들다. 후방 십자 인대 파열은 슬와부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을 제외하면 전방 십자 인대 손상과 비슷하다.
![]() |
▲팔꿈치 인대 손상(출처=게티이미지) |
팔꿈치 통증은 근육통, 점액낭염, 건염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가장 오랫동안 낫지 않고 지속되는 통증 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테니스 엘보와 골프 엘보다. 테니스엘보는 팔꿈치 바깥쪽 뼈에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뼈의 이름 때문에 외측상과염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손목신전근의 힘줄 손상이 테니스엘보를 일으킨다. 골프 엘보는 테니스 엘보와 반대의 위치에서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팔꿈치 안 쪽에서 통증이 나타나며 내측상과염이라고 불린다.
[팸타임스=위아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