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강한 눈을 보여주는 여성(출처=게티이미지) |
원시는 눈으로 들어온 평행광선이 망막의 뒤에 초점을 맺는 상태를 말한다. 각막과 수정체에서 기인하는 안구의 굴절력에 비해 안구 전후의 길이가 짧아 망막의 뒤쪽에 상이 맺히기 때문에 먼 곳은 잘 보이나 가까운 것은 잘 보이지 않는다.
![]() |
▲흐려진 시야(출처=게티이미지) |
원시는 멀리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출 수는 있지만 근처 물체에 집중 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는 시각적 상태다. 가까운 물체에 초점을 맞추려고 노력하면 눈의 피로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멀리 있는 물체를 보는 것에 비해 근처의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해 엄청난 집중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
▲콘택트 렌즈를 끼는 여성(출처=게티이미지) |
원시에는 안구의 전후 길이가 짧아서 일어나는 축성 원시와 각막이나 수정체에서 빛을 굴절하는 힘이 약해서 생기는 굴절성 원시가 있다. 유전적인 경향이 있으나 원시가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 |
▲원시는 멀리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추기는 쉬운 상태다(출처=게티이미지) |
노안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시력저하는 물론이고 일상 생활에 큰 불편함을 준다. 노안증상이 오면 독서를 하거나 근거리 작업을 할 때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눈이 쉽게 피로해지면서 겹쳐보이는 증상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에는 두통이 동반되기도 한다. 노안 증상은 세월이 지나 나이를 먹게 되면서 사람의 눈 속 수정체가 딱딱해지는 것을 말한다. 노안 증상은 원거리 시력을 교정한다고 해도 가까운 거리에서는 별도로 돋보기 렌즈가 필요하게 된다.
![]() |
▲눈 검사를 하는 모습(출처=게티이미지) |
원시의 진단은 증상만으로 이뤄지지 않으며 시력 측정, 눈의 전안부와 망막 검사 후에 굴절 검사를 통해 시력 저하의 원인이 굴절 이상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 |
▲레이저를 이용한 원시 교정(출처=게티이미지) |
경도의 원시에서 시력이 잘 나오고 조절눈 피로의 증상이 없다면 원시를 꼭 교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원시에 의한 시력 저하나 약시, 조절눈 피로 증상이 있다면 굴절 검사를 통해 얻은 굴절 이상의 정도를 볼록렌즈를 이용해 교정해주면 된다.
[팸타임스=위아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