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투고 있는 쌍둥이(출처=셔터스톡) |
육아는 보람찬 일이지만 그만큼 피곤하고 힘든 일이기도 하다. 아이가 하나만 있어도 신경쓸 일은 끝이 없다. 울고 소리지르고 음식 투정까지, 심지어 한밤중에도 말썽을 부릴 수 있다.
그런데 쌍둥이라면? 쌍둥이는 한 아이가 말썽을 부리면 다른 아이가 이를 따라해 더 큰 말썽을 일으키는 쌍둥이확대증후군(twin escalation syndrome)을 일으키곤 한다. 이럴 경우 마치 허리케인이 집 안을 휩쓸고 지나간 듯한 모습을 볼 수도 있다.
만약 가정에 쌍둥이 아이가 있다면, 그리고 아이들이 너무 활발해서 치우는 속도가 어지르는 속도를 못 따라갈 지경이라면, 이 글을 읽어보는 것이 좋다.
쌍둥이확대증후군(TES)는 쌍둥이 혹은 세쌍둥이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써, 한 아이가 다른 아이의 행동을 '따라 하고', 이어서 서로의 행동을 '능가하려는' 행동 문제를 일컫는다. 이는 쌍둥이 혹은 세쌍둥이가 서로를 이기려는 자연스러운 경쟁심리로 인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아이가 식사시간에 소리를 지른다면 다른 아이가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해 더 큰 소리로 소리를 지르는 것이다. 이런 본능적인 행동은 성인까지 이어져, 스포츠나 학업 분야에서 서로 경쟁을 하게 된다.
그러나 모든 쌍둥이가 이런 행동 특성을 보이지는 않는다. 쌍둥이나 형제 사이에서 한 아이가 버릇 없는 행동을 하면, 서로 가담하여 더 큰 말썽을 부리는 대신에 침묵을 지키는 아이도 있다.
![]() |
▲쌍둥이는 함께 있을수록, 서로를 이기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출처=플리커) |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쌍둥이가 TES 조짐을 보일 때 부모는 아이들이 자신의 옷자락을 끌어당기거나 머리를 잡아당겨도 당황하지 않고 침묵을 유지하는 방법을 익혀야 한다. 평정심을 유지하게 되면 상황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고 TES와 관련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데 효과가 있다.
부모가 쌍둥이확대증후군에 대처하는 데 효과적인 몇 가지 방법들이 있다.
1. 아이들을 갈라놓자. 쌍둥이들은 나란히 앉혀놓을 때 서로의 행동을 인식하게 되어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TES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아이들을 분리시켜 놓고 서로의 행동에 반응할 수 없는 장소에 각자 두어야 한다. 그리고 아이들이 버릇 없는 행동을 할 때에도 이 방법을 사용해 혼낼 수 있다.
2. 주의를 분산시킨다. 아이를 분리시키는 것은 혼란이 확대될 때 효과가 없을 수 있지만, 아이들이 버릇 없는 행동을 보일 때 주의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아이가 유아기일 경우, 장난감을 주거나 아이들이 즐길 수 있는 활동을 통해 아이들의 주의를 분신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보다는 나이가 든 아이들에게는 쌍둥이와 떼어놓기 위해 간단한 집안 일을 시킬 수 있다.
3. 경쟁을 줄이자. 쌍둥이들은 본능적으로 서로 경쟁하려는 심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TES가 유발된다. 따라서 가정에서 경쟁 구도를 줄이게 되면, 아이들의 버릇없는 행동을 줄일 수 있으며 가정에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모들은 아이들이 각자의 정체성을 구축할 수 있도록 아이들 각자와의 시간을 보내야 한다. 그리고 아이들 각각의 차이와 능력을 이해하고, 질투와 불필요한 경쟁을 피하기 위해 서로를 비교해서는 안 된다.
![]() |
▲쌍둥이확대증후군에 대처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출처=맥스픽셀) |
4. 착한 행동을 칭찬하라. 아이가 신경과민 증상을 보이거나 짜증을 부린다면, 부모는 나쁜 행동을 보이는 아이에게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TES가 발생할 때에는 착한 행동을 보이는 아이에게 관심을 보이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 방법은 아이들에게 착한 행동을 주입하는 데 효과가 있다.
5. 아이들을 각각 혼내야 한다. 쌍둥이들이 버릇없는 행동을 해 아이들을 혼내야 할 상황이 생긴다면, 아이들은 개별적으로 혼내야 한다. 아이들은 각각 기질이 다르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맞는 벌을 내려야 한다. 예를 들어, 아이 중 하나는 스마트폰 사용을 좋아하고 다른 아이는 TV 보는 것을 좋아한다면, 두 아이 모두에게 스마트폰 사용 금지라는 벌을 내릴 때 한 아이에게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6. 아이들과 개별적으로 소중한 시간을 보내야 한다. 아이들은 똑같은 사랑과 관심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부모들은 아이와 개별적으로 똑같은 시간을 보내야 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아이들은 부모의 관심을 받기 위해 나쁜 행동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팸타임스=유세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