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잇몸에서 나와 자라며 자리를 잡게 된다. 어린 시절의 유치 시기를 지나 영구치가 자란 후 위 아랫니 모두 제 자리에 고르게 나오면 문제가 없지만 제때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매복치라 부른다.
매복치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치아가 나와야 할 시기가 지나도록 잇몸 안에서 나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좌우 치아가 나오는 시기가 6개월 이상 차이가 나면 치과에서 방사선 사진촬영 등의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매복치의 원인으로는 치아가 나올 공간이 부족하거나 매복치 위 유치가 제때 탈락되지 못한 경우 그리고, 매복치 상방에 과잉치 등의 맹출을 방해하는 요소가 있거나 치아 싹의 위치가 애초부터 엉뚱한 곳에 생긴 경우 등 다양하다. 이 매복치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전체 치열의 형태가 틀어지게 되면서 부정교합을 유발할 수 있고, 인접 영구치의 뿌리를 녹인다거나 매복된 치아에 물혹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 |
서울 은평구 연신내치아교정 치과 홍선생교정치과 박홍식 대표원장 |
서울 은평구 연신내치아교정 치과 홍선생교정치과 박홍식 대표원장은 "이 매복치 발생빈도를 보면 대체적으로 사랑니, 송곳니, 아래 두 번째 어금니, 대문니 순"이라면서 "사랑니가 매복된 경우 환자의 신체적 요건이나 치아의 성숙 정도, 매복된 위치 등을 고려해 발치하지만, 그 외 치아가 매복된 경우 치료 방향 결정에 신중을 가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매복된 치아를 재위치로 배열하는 방법을 추천하고 있다.
매복된 치아를 배열하는 것은 잇몸뼈 속 숨어있는 치아를 움직여 재위치로 배열해야 하는 교정이다. 이에 일반적인 치아교정 치료와 달리 부가적인 교정장치들과 매복치를 노출시키는 잇몸수술이 필요하며, 아무래도 일반적인 교정치료에 비해 좀 더 복잡한 치료과정을 거치게 된다.
마지막으로 박 대표원장은 "매복치교정은 치아의 위치,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만큼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고 교정전문의의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며 "매복치 외에도 전반적인 좌우 치아상태가 고르지 못하다면 치아교정치과를 찾아 치료하면 생활이 더욱 편해진다"고 했다.
[팸타임스=이정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