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 다래끼가 난 남성(출처=게티이미지) |
눈꺼풀에는 짜이스샘, 몰샘, 마이봄샘 등의 여러 분비샘이 존재한다. 이 분비샘 중 짜이스샘, 몰샘에 생긴 급성 화농성 염증을 겉다래끼라고 하며, 마이봄샘의 급성 화농성 염증을 속다래끼라고 한다.
![]() |
▲눈 다래끼는 그냥 놔두면 가라앉는다(출처=게티이미지) |
속눈썹 아래 부분이나 눈꺼풀을 따라 있는 분비 기관 중 한 곳이 막히고 자극을 받으면 여드름이 나는 것과 같은 염증이 생긴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한번쯤 경험하는 질환이다.
![]() |
▲포도상구균(출처=게티이미지) |
눈 다래끼는 포도상구균 박테리아로 인해 속눈썹의 염증이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 작은 분비 기관들이 눈꺼풀 주위에 존재하며 이를 통해 기름이 배출된다. 어떤 물질이 분비기관을 막고 있다면 기름이 배수되지 않고 역류된다. 그 결과 분비기관이 부어오르고 염증이 생긴다.
![]() |
▲눈에 통증이 생긴 여성(출처=게티이미지) |
눈 다래끼의 첫 번째 증상은 눈꺼풀 주위가 붉어지거나 부어오르는 것이다. 중앙에 고름 자국이 있는 붉은 혹이 생기며 자극에 민감해진다. 눈 주변이 가려워지며 눈물이 흐르기도 한다.
![]() |
▲눈꺼풀을 확인하는 여성(출처=게티이미지) |
눈꺼풀 가장자리에 결절이 있으면서 붓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 눈다래끼를 의심한다. 겉으로 드러난 증상만 보아도 대부분 진단이 가능하며 속다래끼의 경우 뒤집거나 아래로 내려보면 노란 농양점을 관찰할 수 있다.
![]() |
▲손을 씻는 여성(출처=게티이미지) |
손을 규칙적으로 씻어야 한다. 손이 더러우면 눈에 입자가 들어가고 분비물의 배출이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손을 자주 씻으면 눈 다래끼가 형성되도록 자극하는 일이 없어진다. 눈 다래끼는 단순한 여드름이 아니기 때문에 짜면 안 된다. 고름이 나오면서 감염 부위가 커질 수 있다. 자연스럽게 치료되도록 나둬야 한다.
![]() |
▲온찜질을 하는 여성(출처=게티이미지) |
눈 다래끼는 그냥 둬도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좋아진다. 증상 완화를 위해 더운 찜질을 하거나 항생제 안약을 점안한다.
[팸타임스=위아람 기자]